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운룡

다른 표기 언어 李雲龍
요약 테이블
출생 1562(명종 17)
사망 1610(광해군 2)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경현(景見), 호는 동계. 아버지는 남해현령 몽상(夢祥)이다. 1585년(선조 18) 무과에 급제하여 1587년에 선전관이 되었으며, 1589년 옥포만호(玉浦萬戶)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좌수사 박홍(朴泓)은 겁을 먹어 이미 도망갔으며, 자신의 상관인 경상우수사 원균마저 전투를 포기하고 도망가려 하자 원균을 만류하여 남해안을 지킬 것을 주장했다. 이에 원균은 율포만호(栗浦萬戶) 이영남(李英男)을 전라좌수영으로 보내 이순신(李舜臣)에게 구원 요청을 했다. 이순신이 이에 응하자 경상수군은 전라수군과 합세하여 옥포해전을 비롯한 여러 해전에서 일본 수군을 물리쳤는데 이러한 해전에 참전해 많은 공을 세웠고, 특히 옥포에서는 선봉장으로 활약했다.

1596년 경상좌수사가 되었다. 1604년 선무공신 3등에 책록되었으며 식성군(息城君)에 봉해졌다. 이듬해 도총부부총관·포도대장을 지냈으며,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다. 저서로는 〈식성군실기〉(2권)가 있다. 청도 금호서원(琴湖書院)과 의령 기강서원(歧江書院)에 배향되었다.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운룡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