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세영

다른 표기 언어 李世永
요약 테이블
출생 1869. 5. 29, 충남 청양
사망 1938
국적 한말, 한국

요약 한말의 의병장·독립운동가.

본관은 덕수. 일명 유흠·천민·세영. 자는 좌현, 호는 고광·고광자. 아버지는 내금위장 민하이다. 양헌수에게 수학한 뒤 1889년(고종 26) 육영공원에 입학했다.

1894년 갑오농민전쟁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이봉학과 함께 유회를 설립해 농민군을 막았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이 일어나자 홍주에서 의병을 일으켜 관찰사 이승우를 대장에 추대했으나, 이승우의 배신으로 김복한(金福漢) 등이 체포되자 정인의와 같이 공주를 공격했으나 패하고 홍산으로 피신했다. 이듬해 남포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켰으나 패했다. 1897년(광무 1) 대한제국이 선포되자 7등군공부에 오르고 육군참위가 되었으며, 1902년 헌병대장 서리를 지낸 후 제대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1906년 홍산에서 민종식의 참모장으로 홍주성을 점령했으나, 일본군의 반격을 받고 크게 패한 뒤 붙잡혀 종신유형을 받고 황주로 유배되었다. 그뒤 철도로 옮겨졌다가 풀려났다. 1908년 동생 창영, 이상린과 함께 후진 교육을 위해 성명학교를 설립해 교장이 되었으며, 이듬해 대한협회 은산지회를 조직했다. 한일합병 후 일제가 군참사를 시키고자 회유했으나 응하지 않았다.

1912년 임병찬(林炳瓚)이 고종의 밀칙을 받아 독립의군부를 조직하자 1913년 3월 함경도·평안도·황해도의 3도사령이 되었다. 그해 6월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강습소 소장서리가 되었다. 1917년 11월 신흥강습소가 신흥학교로 개칭되자 교장이 되었다. 1919년 2월 여준·김동삼(金東三) 등과 함께 39명 명의의 무오독립선언서를 발표했다.

1919년 3·1운동 이후 임시정부 건립운동의 일환으로 4월 23일 서울에서 한성 임시정부가 만들어지자 참모차장에 선임되었으며, 8월에는 상해 임시정부의 노동부차장에 임명되었다. 그해 7월 환런 현[桓仁縣]에서 손극장·윤세용 등과 함께 한교공회를 조직했으며, 뒤에 특무부라 개칭하고 특무부장이 되어 일제의 침략기관을 습격하고 친일 주구들을 처단했다.

1921년 주만통군부 사령관이 되었고, 1922년 2월 한교교육회를 조직하여 이사장이 되었다. 대한통의부가 결성되자 참모부장·군사부장을 지내면서 만주의 일제기관 파괴와 주구배 숙청에 주력했으며 군내진공작전도 벌였다. 그뒤 베이징[北京]으로 건너가 활동하면서 임시정부에 내분이 일어나자 1925년 5월 이를 규탄하는 교정서를 발표했다.

1930년 2월 베이징에서 조성환·손일민 등과 함께 한족동맹회를 조직했으며, 그해 7월 강구우(姜九禹) 등과 조선혁명당 제1지부를 조직했다. 1932년 6월 조성환·김원봉(金元鳳)·김규식(金奎植) 등과 같이 중국 국민당 정부의 후원을 얻어 중한항일의용군을 조직하여 간부훈련 및 일본군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1933년 충칭[重慶]에서 신사회를 조직하여 부위원장이 되었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세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