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베리아인

다른 표기 언어 Ibero

요약 선사시대에 스페인 남부와 동부에 살던 민족.
(영). Iberian.

이들의 이름에서 이베리아 반도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 BC 8~6세기에 스페인 북부와 중부에서 이주하기 시작한 켈트족이 포르투갈과 갈리시아까지 진출했는데, 청동기 문화권에 속한 남쪽과 동쪽의 이베리아 원주민들은 축출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그리스의 지리학자들은 에브로(이베루스) 강에 사는 주민들을 이베리아인이라고 했으나,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 시대(BC 5세기 중반)에는 북부 및 서부의 주민들과 언어적으로 관련이 있으나, 물질문명에 있어서는 매우 다른 에브로 강과 우엘바 강 사이의 모든 주민들을 일컫는 표현으로 쓰였다.

메세타센트랄 북동부와 카탈루냐와 아라곤의 경우처럼 이베리아인과 켈트족이 공존하면서 켈트이베리아인이라는 혼혈종족을 형성하기도 했다.

고전시대의 학자들이 언급한 이베리아인 계통의 종족 가운데 하나인 바스테타니족은 가장 중요한 지역인 알메리아와 산악지대인 그라나다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바스테타니족의 영토 서쪽에 사는 사람들은 그리스인들이 이 지역에 붙인 이름인 타르테소스를 따서 타르테시아인으로 불렀다. 이중에서 과달키비르 계곡에 사는 투르데타니족이 가장 강력했다.

북동부와 발렌시아 연안의 부족들은 문화적으로 엠포리온(지금의 암푸리아스)과 알리칸테에 사는 그리스인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동남부지역의 부족들은 말라카(말라가)·섹시(알무녜카)·아브데라(아드라) 등 포에니의 교역 식민지(후에 카르타고의 식민지가 됨)에서 영향을 받았다.

동쪽 해안의 이베리아인은 독립 도시국가 주변에 모여 살았다. 남쪽에는 군주국들이 있었는데, 세비야 근처에 있는 엘카람볼로의 보물은 타르테소스 왕의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산악지역에 있는 종교적인 성소에서는 청동상과 테라코타가 만들어졌다.

이베리아인은 독특한 스타일의 도기를 많이 만들었다. 프랑스 남부, 사르데냐, 시칠리아, 아프리카 등에서 이들이 수출한 도기가 발견되었고, 그리스에서도 많은 양을 수입했다. 독특한 머리장식과 장신구를 하고 있는 〈엘체의 성모 마리아 Lady of Elche〉 상은 고전기의 영향을 보여주며, 경제는 풍요로운 농업과 채광, 금속세공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인도유럽어에 속하지 않는 이베리아어는 로마 시대 초기까지 쓰였다. 동쪽 해안에는 28개의 음절과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이베리아 문자가 쓰였는데, 그중 일부는 그리스와 포에니의 문자체계에서 빌려온 것이지만 대부분은 기원을 알 수 없다. 많은 기록이 지금까지 남아 있으나, 여러 도시에서 만들어진 동전에 새겨진 지명을 제외하면 거의 해독할 수 없다. 이런 고유의 문자체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로마에 정복된 후에는 라틴 문자를 썼다. 현대의 바스크어가 이베리아어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되기도 했으나, 오늘날의 많은 학자들은 2가지 언어를 완전히 다른 것으로 보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인종/민족

인종/민족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베리아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