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대량생산·대량소비의 진전에 따라 전통적인 유통경로·거래방식·기업형태가 일신되는 것으로, 유통기능담당자의 강화, 시장질서의 정비, 물적 유통의 합리화 및 유통환경의 정비를 그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상적 유통산업은 세분화·다양화되어왔다. 즉 생산기술의 혁신을 통해 대량생산체제가 확립됨에 따라 대량생산된 상품을 종래와 같은 유통경로를 통하여 판매하는 것이 비효율적으로 되고, 소규모의 잡화점이 중심이었던 소매업 부문에서의 혁신을 통하여 대량유통을 위한 백화점·연쇄점·우편판매점·슈퍼마켓 등의 근대적 유통산업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체인스토어 형식을 띤 소매업의 대두로 이들에 의한 도매상의 배제가 이루어지게 되었고, 다른 한편에서는 생산자의 주도하에 도매상의 배제나 이들의 계열화가 이루어졌다.
1930년대 대공황기 미국 대도시 교외의 창고를 이용하여 통조림 등의 식료품을 염가로 대량판매한 데서 유래한 슈퍼마켓은 식료품 등의 일용품을 중심으로 셀프서비스·현금판매·대량염가판매를 원칙으로 하는 소매업이다. 슈퍼마켓은 규모의 경제화·인원절감을 달성하고, 체인스토어의 형식을 통해 판매지역의 제한을 해결함으로써 근대적 유통산업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프랜차이즈체인이란 본점이 가맹점에 대해 점포운영·상품공급·판매기법에 대한 지도를 하고 가맹점은 이의 대가로 특약료를 지불하는 것이다.
대량생산·대량소비의 진전에 따라 물적 유통산업에서도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운수업의 경우 많은 상품을 신속하게 운반하기 위해 설비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냉장식품군에 대한 수요 급증과 슈퍼마켓 등의 선도관리 대책의 일환으로 이들 상품을 출하에서 도착까지 저온을 유지하면서 유통시키는 냉장수송이 발달했다. 또한 창고업도 근래에는 단순히 물품을 저장·보관하는 전통적 기능에서 나아가 유통거점적 기능을 강화하거나 유통가공업적 성격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