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토피아

다른 표기 언어 utopia 동의어 이상향, 理想鄕

요약 이상적인 국가를 뜻하는 말. 토마스 모어의 동명의 소설 제목이기도 하다. 플라톤의 <국가>에서 최초로 유토피아의 개념이 제시된 이래, 여러 작가의 작품에 모델로 등장했으나 토마스 모어의 소설 <유토피아> 이후 ‘유토피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유토피아(utopia)'는 그리스어로 ‘없다’는 의미의 ‘ou’와 ‘장소’를 뜻하는 ‘topos’가 합쳐져 만들어진 합성어로, 어디에도 없는 곳을 의미한다. 15세기 이후 현대까지 여러 종교집단과 정치개혁가들이 유토피아를 모델로 한 이상적인 공동체의 건설을 꾀하였으나, 대개 오래가지 못했다.

유토피아

ⓒ NikoNomad/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가'(utopian)와 '유토피아적 이상주의'(utopianism)는 대체로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이 이상적인 개혁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유토피아라는 말은 토머스 모어경이 〈국가의 최선 정체(政體)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 Libellus …… de optimo reipublicae statu, deque nova insula Utopia〉(1516)라는 라틴어 제목으로 출판한 〈유토피아 Utopia〉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의 '아니다'(ou)와 '장소'(topos)를 합성해 만든 것으로, '아무 데도 없는'(nowhere)이라는 의미였다. 모어는 1515년 플랑드르에서 대사로 지내는 동안 이성에 의해 정책과 제도가 전적으로 지배받는 이교도의 공산주의 도시국가를 그린 〈유토피아〉 제2권을 썼다. 이 책에 묘사된 국가의 질서와 위엄은 자기이익과 권력 및 부에 대한 탐욕으로 분열된 유럽 그리스도교 국가들의 비이성적인 정책과는 눈에 띄게 대조를 이루고 있다. 유럽 그리스도교 국가들에 관해서는 1516년 영국에서 쓴 제1권에 묘사되어 있다.

유토피아에 대해서는 신비에 싸인 여행가 라파엘 하이슬러디가 공산주의만이 사적·공적 생활에 만연해 있는 이기심을 없애는 유일한 치유책이라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유토피아를 언급함으로써 구체적으로 묘사된다. 모어는 인간이란 본디 잘못을 저지르기 쉬우므로 악을 치유하기보다는 누그러뜨리는 편이 낫다는 주장을 폈다. 따라서 재치가 넘치는 익살의 어느 부분이 진지하게 의도된 것인지 어디가 역설에 불과한지는 독자의 판단에 맡겨져 있다.

글로 씌어진 유토피아는 사변적일 뿐만 아니라 실제적일 수도, 풍자적일 수도 있다.

유토피아는 이름이 붙여지기 훨씬 전부터 있었다. 플라톤의 〈국가 Politeia〉는 모어에서 H.G. 웰스에 이르는 많은 작가의 작품에 나오는 유토피아의 모델이다. BC 300년경에 활동한 에우헤메로스의 〈신성한 역사 Sacred History〉에는 이상적인 섬이 나오며, 플루타르코스가 쓴 리쿠르고스 전기는 스파르타를 이상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아틀란티스 전설은 많은 유토피아 신화에 영감을 불어넣어 주었다. 그러나 15세기에 들어와 탐험이 이루어지면서 유토피아는 좀더 현실적인 배경을 갖게 되었고, 모어는 〈유토피아〉를 아메리고 베스푸치와 연결지어 생각했다.

모어의 유토피아와 마찬가지로 인본주의 주제를 다룬 그밖의 유토피아에는 안토니오 프란체스코 도니의 〈여러 사회들 I mondi〉(1552)과 프란체스코 파트리치의 〈행복의 나라 La città felice〉(1553)가 있다. 현실적인 유토피아의 선구는 톰마소 캄파넬라의 〈태양의 나라 La città del sole〉(1602경 집필)이다. 1627년 출판된 프랜시스 베이컨의 〈새로운 아틀란티스 섬 New Atlantis〉은 과학적인 계획안을 지닌 점에서 실용적이지만 철학과 종교에 관해서는 사변적이다.

그리스도교의 유토피아적 공동사회는 요한 발렌틴 안드라에의 〈크리스티아노폴리스교 도시 Christianopolis〉(1619), 'I.D.M.'의 〈Antangil〉(1616), 새뮤얼 고트의 〈Novae Solymae libri sex〉(1648)에 나타나 있다. 청교도주의는 문학을 통해 수많은 종교적·세속적 유토피아를 낳았다. 그중에서도 〈자유의 법 The Law of Freedom……〉(1652)에서 제러드 윈스턴리는 '디거스'(Diggers)의 원칙을 지지했다.

제임스 헤링턴이 쓴 〈The Common-Wealth of Oceana〉(1656)는 토지분배를 일반대중의 자립조건으로 내세웠다.

프랑스에서는 가브리엘 드 푸아니의 〈미지의 남쪽세계 Terre australe connue〉(1676) 같은 작품들이 자유를 외쳤다. 프랑수아 페늘롱의 〈텔레마크 Télémaque〉(1699)는 순박한 생활을 찬양하는 유토피아적 일화를 그리고 있으며, 루이 세바스티앙 메르시에가 쓴 〈2440년 L'An 2440〉(1770)은 프랑스 혁명의 원칙을 예견했다.

G.A.엘리스의 〈새로운 영국 New Britain〉(1820)과 에티엔 카베트의 〈이카리아 여행 Voyage en Icarie〉(1840)은 순전히 경제계획만으로 시작한 미국의 실험적인 공동체의 한계를 다루었다. 불워 리턴은 〈다가오는 경주 The Comming Race〉(1871)에서 경제를 철저하게 배제한 본질적 요소를 고안해냈고, 윌리엄 모리스는 〈출처 없는 뉴스 News from Nowhere〉(1890)에서 경제를 경멸하는 입장을 드러냈다. 그러나 가장 영향력있는 2개의 유토피아, 즉 에드워드 벨러미의 〈과거를 돌아보다 Looking Backward, 2000~1887〉(1888)와 테오도어 헤르츠카의 〈자유국가 Freiland〉(1890)는 경제적 근거가 있는 것이다.

H. G. 웰스는 〈현대의 유토피아 A Modern Utopia〉(1905)에서 사변으로 되돌아갔다.

대개의 유토피아는 현재의 상황에 대한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공하기보다 그것을 비웃는 풍자에 불과하다.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 Gulliver's Travels〉(1726)와 새뮤얼 버틀러의 〈에러원 Erewhon〉(1872)이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 20세기에는 계획사회의 실현이 임박해지자 반(反)유토피아적인 소설들이 쏟아져 나왔다.

잭 런던의 〈강철군화 The Iron Heel〉(1907), 예브게니 자미아틴의 〈나의 My〉(1924),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Brave New World〉(1932), 조지 오웰의 〈1984년 Nineteen Eighty-four〉(1949)이 대표작이다. 루이스 멈퍼드의 〈유토피아 이야기 The Story of Utopias〉(1922)는 뛰어난 개관서이다.

문학과 함께 종교집단과 정치개혁가들도 이상적인 공동체 건설을 꾀했는데, 이는 특히 미국에서 두드러졌다.

1663년 네덜란드 메노파 교도들이 현재의 델라웨어 주 루이스에 공산주의적 공동사회 거주지를 처음으로 건설했으며 이때부터 1858년 사이의 2세기 동안 약 138개의 공동사회가 북아메리카에 세워졌다. 건설자가 죽은 뒤에도 유지된 최초의 것은 독일의 경건파 교도들이 1732년 펜실베이니아 주에 세운 에프러타 공동체였다. 그밖에도 게오르게 라프가 펜실베이니아와 인디애나 주에 하모니 공동체, 펜실베이니아에 이코너미 공동체를 세웠으며, 아이오와 주의 아마나 그룹은 아이오와, 셰이커교도들은 8개 주에 18개의 마을을 세웠다.

그들 중 일부는 금욕을 추구했으며, 몇몇 공동사회의 종파는 아직까지도 활약하고 있다. 그중 가장 큰 집단은 허터파이며, 미국과 캐나다에 주로 살지만 영국과 파라과이에도 정착촌을 이루고 있다.

비종교적 공동체로서 처음 세워진 것은 영국의 실업가 로버트 오언이 1825년 인디애나 주의 하모니를 라프파로부터 사들여 건설한 뉴하모니였다. 공산사회라기보다 협동체 사회였는데 비록 실패했지만 미국에서 최초로 유치원·상업학교·공립도서관·공립학교를 후원했다.

프랑스의 사회개혁가 샤를 푸리에는 1840년대 미국개혁가들, 특히 매사추세츠 주 브룩 농장의 지도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1841~59년 약 28개의 푸리에 방식의 거주지가 미국에 세워졌다. 카베트의 추종자인 이카리아인들은 일리노이·미주리·아이오와·캘리포니아 주에 공동사회를 세웠으나 실패로 끝났다. 존 험프리 노이스가 1841년 버몬트 주 푸트니에 세웠다가 1848년 뉴욕의 오나이다로 옮긴 오나이다 공동체는 독창적인 시도였다.

이 집단은 모든 남편과 아내를 서로 공유하는 '복합결혼'을 실행했다. 노이스는 오나이다가 브룩 농장의 시행착오를 시정해 계승시킨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종교 없이는 사회주의 실현이 불가능하며, 이 '대가족' 제도가 이기주의를 없애는 동시에 이같은 생활방식의 실용성을 입증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어린이들은 걸을 수 있을 때까지만 어머니와 함께 지내고 그뒤에는 공동탁아소에 맡겨졌다.

남북전쟁 뒤 비종교적 유토피아 실험의 열기는 수그러들었다.

로런스 그론런드의 〈협동사회 The Cooperative Commonwealth〉(1884)와 벨러미의 〈회고 Looking Backward〉 같은 이상주의 책자가 발표된 뒤 1890년대에도 새로운 공동체가 몇 개 더 생겨났으나, 지속되지 못한 채 곧 정치적 사회주의에 흡수되었다. 이상주의적 종교공동체 건설은 20세기에도 계속되었으나, 대개 오래가지 못했다. 종교공동체는 거의 모든 경우 신봉자들이 예언의 능력과 지혜를 가졌다고 받드는 단 1명의 강력한 인물에 의해 건설·유지되었다. 이러한 공동체의 대부분은 원래의 지도자가 살아 있을 동안은 번창했다가 지도자가 죽고 난 뒤에는 서서히 쇠퇴해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유토피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