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종원

다른 표기 언어 Liu Tsungyuan , 柳宗元
요약 테이블
출생 773, 중국 산시 성[山西省] 퉁관[潼關]
사망 819, 광시 성[廣西省] 류저우[柳州]
국적 중국, 당(唐)

요약 한유와 함께 고문운동을 제창하여 거의 1,000년 동안 귀족 출신의 문인들에게 애용된 변려문을 탈피하고자 노력했다. 한유와 함께 당송8대가에 속하여 ‘한·유’라고 병칭된다. 그러나 철학상으로는 한유와 큰 견해 차이를 보여, 천의 의지유무에 관해 논쟁을 벌였다. 유종원은 원기 위에 천이라는 최상위 개념이 있는 것을 부정하여 천이 상과 벌을 내린다는 천명론에 반대했다. 유종원의 산수유기는 널리 알려져 있는데, 특히 경물의 특징을 묘사하는 데 뛰어났다. 〈영주팔기〉 가운데 〈고무담서소구기〉는 돌을, 〈소석담기〉는 담수어를, 〈원가갈기〉는 초목을 묘사했는데, 서로 다른 각각의 사물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그밖에 〈포사자설〉·〈삼계〉·〈부판전〉·〈유하동집〉 등이 있다.

유종원

중국 당나라의 문장가, 시인

ⓒ Wmrwiki / wikipedia | Public Domain

이명은 유하동 자는 자후. 하동해(지금의 산시 성 윈청) 사람이다.

일찍이 유우석(劉禹錫) 등과 함께 왕숙문의 혁신단체에 참가했으나, 실패하여 영주사마로 좌천되었다. 후에 유주자사를 지내 유유주라고도 한다.

한유(韓愈)와 함께 고문운동을 제창하여 거의 1,000년 동안 귀족 출신의 문인들에게 애용된 변려문에서 작가들을 해방시키려고 했다. 한유와 함께 당송8대가에 속하여 '한·유'라고 병칭된다. 그러나 철학상으로는 한유와 큰 견해 차이를 보여, 천(天)의 의지유무에 관해 논쟁을 벌였다.

유종원은 천지가 생기기 전에는 오직 원기만이 존재했으며, 천지가 나누어진 뒤에도 원기는 천지중에 있다고 생각했다. 원기 위에 천이라는 최상위 개념이 있는 것을 부정하여 천이 상과 벌을 내린다는 천명론에 반대했다. 잡문에서 전형적인 사물을 예로 들어 심오한 철리를 제시했다. 〈포사자설 捕蛇者說〉·〈종수곽탁타전 種樹郭橐駝傳〉·〈영주철로보지 永州鐵爐步誌〉·〈삼계 三戒〉·〈부판전 蝜蝂傳〉 등은 모두 정론과 철리를 예술적인 형상과 융합시킨 것으로, 구상이 참신하며 문체가 생동감 있다.

그의 산수유기는 널리 알려져 있는데, 특히 경물의 특징을 묘사하는 데 뛰어났다. 유명한 〈영주팔기 永州八記〉 가운데 〈고무담서소구기 鈷鉧潭西小丘記〉는 돌을, 〈소석담기 小石潭記〉는 담수어를, 〈원가갈기 袁家渴記〉는 초목을 묘사했는데, 서로 다른 각각의 사물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또한 세상에 대한 울분을 자연풍경에 이입하고, 속세와 떨어져 있는 기이한 산수에 마음의 울분을 기탁하여 작품에 반영했다. 시의 내용은 담백하며, 유배생활을 반영한 작품과 경치를 묘사한 소시는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그밖에 〈유하동집 柳河東集〉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철학가

철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유종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