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1456(세조 2)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단종복위를 추진한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세종과 문종의 총애를 받았다. 첨지중추원사·경원절제사를 지내고 1452년(단종 즉위) 의주목사, 1453년 평안좌도절제사 등을 역임했으며, 1455년(세조 1) 동지중추원사에 임명되었다. 세조 즉위 후 전직·현직 집현전 출신인 성삼문·박팽년·이개·하위지·유성원 등과 함께 단종복위를 모의했다. 이 모의가 실패하고 밀고가 들어가면서 주모자 6명이 형을 받거나 자살했다. 유응부는 세조의 국문에 답하다가 더 극심한 고문을 받고 죽었다.
단종복위를 추진한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기계. 자는 신지(信之)·선장(善長), 호는 벽량(碧梁).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세종과 문종의 총애를 받았다. 첨지중추원사·경원절제사를 지내고 1452년(단종 즉위) 의주목사, 1453년 평안좌도절제사 등을 역임했으며, 1455년(세조 1) 동지중추원사에 임명되었다.
세조 즉위 후 왕권이 강화되고 신권이 약화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세조의 불의의 찬탈에 대한 저항이라는 대의가 내세워지고 있었다. 이에 그는 전직·현직 집현전 출신인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이개(李塏)·하위지(河緯地)·유성원(柳誠源) 등과 함께 단종복위를 모의했다. 세조가 상왕(上王:단종)을 모시고 명나라 사신을 창덕궁에 초청하여 벌인 연회에서 성승(成勝)과 함께 별운검(別雲劒)을 맡게 되자 그 자리에서 세조와 측근관료들을 제거하고 상왕을 복위시키기로 했다. 그러나 세조가 연회 당일 별운검을 폐지하도록 명했으며, 왕세자도 병으로 참석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는 그대로 거사할 것을 주장했으나 성삼문 등의 만류로 모의를 뒤로 미루게 되었다. 이때 모의에 참여했던 김질(金礩)이 이 사실을 세조에게 밀고함으로써 단종복위 계획은 실패로 끝났다. 그를 포함한 주모자 6명은 체포되어 형살(刑殺)되거나 자살했으며, 이에 연루된 70여 명이 화를 당했다. 세조가 국문하면서 그에게 "너는 무엇을 하려 했느냐"라고 묻자, "한 칼로 족하(足下:세조를 가리킴)를 죽이고 본 임금을 복위시키려 했다"고 대답하여 극심한 고문을 받고 죽었다. 1691년(숙종 17) 12월 사육신을 국가에서 공인함으로써 복관되었으며, 1791년 2월 절의숭상의 범위를 더 넓혀 단종을 위하여 충성을 바친 여러 신하들에게 어정배식록(御定配食錄)을 편정할 때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재차 확인되었다. 노량진 민절서원, 홍주 노운서원, 연산 충곡서원(忠谷書院), 영월 창절사(彰節祠), 대구 낙빈서원(洛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목(忠穆)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