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파스카

다른 표기 언어 Passover , 踰越節 동의어 유월절, 逾越節, 과월절, 過越節
요약 테이블
날짜 매년 성경에 표기된 니산월 15일부터 22일

요약 과월제라고도 불리는, 하느님이 출애굽 전야에 이스라엘 민족의 처음 태어난 것들을 살려둔 것을 기념하는 날. 매년 성경에 표기된 니산월 15일부터 22일이다. 유대 역사에서 가장 큰 사건을 회상하며 큰 즐거움을 누리는 날이다. 현재는 잦은 논쟁으로 기념하고 있지 않다.

유월절

ⓒ tomertu/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유래와 역사

파스카는 하느님이 출애굽 전야(니산월 14일)에 ‘이집트 땅을 치실 때’ 사람이든 가축이든 이스라엘의 처음 태어난 것들을 그냥 ‘넘어간 것’ 또는 살려둔 것을 기념하는 절기이다. 성경에 따르면 유대인들이 모세의 인도 아래 애굽(이집트)을 떠나기 전날 하느님은 모세를 통해 집집마다 문설주에 어린 양의 피를 발라 하느님의 자녀임을 표시하게 했다. 이는 하느님이 애굽을 칠 때 이스라엘인들을 구별하기 위함이었다. 유대인들은 명령을 따랐고, 이집트를 치는 하느님의 심판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었다. 이것은 유대 역사에서 가장 큰 사건이었다.

이후 유대인들은 파스카를 기념하기 시작했으나, 이후 예수가 태어나고 말씀을 전하다가 죽고 난 뒤 부활하자 기존의 유대교와 로마 교회 사이에 논쟁이 일기 시작하면서 파스카의 날짜와 기념여부에 대한 찬반이 오갔다. 155년경의 제1차 파스카 논쟁, 197년경의 제2차 파스카 논쟁이 있고 난 뒤 4세기에 로마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주재한 니케아 회의를 통해 로마 교회는 강력하게 파스카 폐지를 주장했으며, 이 주장이 통과되면서 파스카가 폐지되고 비슷한 시기에 기념하고 있었던 부활절을 기념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파스카를 기념하던 시절 이스라엘과 개혁파 유대인들은 파스카를 7일 동안 기념했으며, 다른 곳에서는 8일 동안 기념했다. 파스카 동안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을 먹기 때문에 과월제라고도 불렸다. 파스카를 기념하는 날짜는 성경에 따른 니산월 15일을 오늘날의 날짜로 계산하기 때문에 매년 달랐다.

관련 행사

본래 파스카는 가족끼리 특별한 식사(세데르)를 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음식마다 부여된 상징적인 의미를 되새기면서 먹는다. 그 식사에는 기도와 전승의 내용을 암송하는 의식도 포함된다. 아슈케나지 회당에서는 안식일에 예배의 한 순서로 메길로트 가운데 <아가>(솔로몬의 노래)를 낭독한다. 파스카는 유대 역사의 큰 사건을 회상하며 즐거움을 누리는 절기지만, 엄격하게 식사법을 지켜야 하고, 절기의 시작과 끝에는 특별한 규정에 따라서 노동을 제한한다. 오늘날에는 그 전통이 전해지지 않으며, 한국의 일부 교회에서 그에 맞는 행사를 벌이거나 예배를 드리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파스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