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공정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다양한 제품을 자동생산할 수 있는 생산방식.
제품의 다양화를 요구하는 사회적인 요청과 로봇을 비롯하여 수치제어(numeric control/NC) 공작기계 등 메커트로닉스의 발전으로 생산의 유연생산방식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오늘날의 산업은 대량생산기술이 확립되어 제품의 대량 공급을 할 수 있게 되었으나 차츰 다양한 제품의 공급을 요청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그러나 생산 라인 하나에서 1가지 제품을 생산하는 종래의 방식으로는 이에 대응하기 어렵고 생산단가도 비싸게 된다. 따라서 생산품종의 변화에 따른 공정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동생산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유연생산방식의 개념은 1960년대 중반 영국에서 확립되었으며 그뒤 미국에서 실용적인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유연생산방식이 오늘날처럼 빠른 진전을 보게 된 것은 시장의 수요와 함께 수치제어 공작기계나 산업용 로봇과 같은 메커트로닉스 기술의 진보로 고성능의 자동기계를 싼 값에 공급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유연생산방식은 컴퓨터로 관리된다. 우선 소재를 자동창고에서 무인운반차로 MC(machining center:NC 공작기계에 공구의 자동교환기능 및 자동위치 결정기능을 준 것)나 NC 공작기계로 보낸다. 이 소재는 프로그램에 따라 이곳에서 가공되고 완성된 부품은 검사공정으로 보내져 자동적으로 검사를 받는다.
이렇게 제작된 여러 부품들은 조립 로봇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립되어 또다른 검사 로봇의 검사를 마치면 제품이 된다. 유연생산방식은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종업원의 건강과 안전유지에도 큰 효과를 가져 온다. 현재 유연생산방식은 주로 중간규모 공장에서 몇 가지 품종의 제품생산에 응용되고 있다. 초기의 투자를 줄일 수 있는 간이형 시스템이 개발되면 유연생산방식은 더욱 빠른 속도로 보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