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선염

다른 표기 언어 mastitis , 乳腺炎

요약 급성유선염은 보통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되어 생긴다. 유방이 부어오르고 아프며, 붉어지면서 단단해지고 민감해진다. 농양이 생겨 고름이 나오기도 하며, 림프절과 림프관이 커지고 누르면 아프다.
만성유선염은 대개 결핵·진균감염증·효모감염증·매독 등의 질환 때문에 2차로 발생한다. 유방암과 구분이 힘든 형질세포유선염에 걸리면 유방에 림프액이 고이고, 혈장세포·백혈구·지방산결정이 쌓이며 지방조직이 변질된다. 단단한 덩어리가 유두 아래쪽에 생겨 유두가 비틀어지고 아프고 예민해지며 염증으로 인해 혼탁한 분비물이 나온다.
유선염 증상은 여러 해에 걸쳐 나타나거나 농양이 생겨 유방에서 고름이 나오는 질환을 앓고 난 뒤에 생긴다. 젖소에게 생기는 세균성유선염은 젖 짜는 기계와 젖 짜는 사람의 손, 파리 등을 통해 전염된다.

여성의 급성유선염은 보통 황색포도상구균에 갑작스럽게 감염되어 생기며, 간혹 연쇄상구균(連鎖狀球菌)에 의해서도 생긴다. 유선염은 거의 대부분 젖을 먹이기 시작한 3주 동안에 시작되며 젖이 분비되는 기간에만 발생한다. 세균은 젖꼭지의 갈라진 틈, 겉으로 드러난 림프관 또는 젖샘관을 통하여 침입한다.

불규칙하게 젖을 먹이면 젖이 지나치게 많이 불어 감염되기가 쉽다. 감염이 되면 유방이 부어오르고 아프며, 붉어지면서 단단하게 되고 민감해진다. 감염은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생길 수 있으며, 부분적일 수도 있고 전체로 퍼질 수도 있다. 고름이 흘러나오기도 하는데 이는 흔히 농양(膿瘍)이 생겼다는 것을 뜻한다. 농양은 유방 내부에 있기도 하고 피부까지 침범하기도 한다. 림프절과 림프관도 커지고 누르면 아프다. 농양을 수반하는 급성유선염은 흔히 급성염증성암종으로 오진되기도 한다. 여자 어린이는 출생 직후와 사춘기에 유방에 염증 같은 것이 조금 생길 수 있는데, 이는 보통 호르몬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며 세균감염은 아니다(→ 유즙분비, 유두).

만성유선염은 대개 결핵·진균감염증·효모감염증·매독 등의 전신질환 때문에 2차적으로 발생한다. 비교적 드문 유형의 유선염으로 형질세포유선염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병은 대부분 아이를 여러 명 낳고 젖 먹이는 데 곤란을 겪었던 나이 많은 여성에게 생기며 때로는 유방암과 구분이 잘 안 된다. 이 병에 걸리면 유방에 림프액이 고이는데, 신체에서는 고인 림프액을 이물질로 취급한다.

따라서 혈장세포·백혈구·지방산결정(脂肪酸結晶)이 쌓이며, 지방조직이 변질된다. 단단한 덩어리가 유두 아래쪽에 생겨서 유두가 비틀어지고, 유두 부분이 아프고 예민해지며 염증이 생기면서 혼탁한 분비물이 나온다. 젖샘관과 림프절은 보통 크고 두꺼워진다. 병이 진행됨에 따라 원래 조직이 파괴되고 섬유조직이나 과립조직으로 바뀌면서 유방의 일부분이 단단해진다.

유방조직이 손상되면 가끔 지방조직에 염증과 괴사가 생기면서 피부 색깔의 변화 없이 단단하고 움직이지 않는 덩어리가 만들어진다. 유선염의 증상은 여러 해에 걸쳐 나타나거나, 농양이 생겨 유방에서 고름이 나오는 질환을 앓고 난 뒤에 생긴다. 젖소에게 생기는 세균성유선염은 경제적으로 심각한 문제이다.

이 병은 젖 짜는 기계와 젖 짜는 사람의 손, 파리 등을 통해 전염된다. 병에 걸린 동물은 젖꼭지 또는 젖통의 색깔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괴사가 생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생물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유선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