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상운

다른 표기 언어 柳尙運
요약 테이블
출생 1636(인조 14)
사망 1707(숙종 33)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 자는 유구(悠久), 호는 약재(約齋)·누실(陋室). 아버지는 좌랑 성오(誠吾)이며, 어머니는 판서 박동량(朴東亮)의 딸이다. 1666년(현종 7)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주서·지평·교리 등을 지냈다. 1679년(숙종 5) 문신정시(文臣庭試)에 장원하여 1680년 대사간으로 특진했다.

같은 해 경신대출척 때 허견(許堅) 등 남인에 의해 추대된 복성군(福城君)을 탄핵했다. 1683년에는 사은부사로 청(淸)나라에 다녀온 뒤 대사간·평안도관찰사를 지냈다. 이해에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나뉘자 윤증(尹拯)·박세채 등과 소론에 가담하여 노론 김석주(金錫胄)의 전횡을 탄핵하는 소를 여러 번 올렸다. 그뒤 호조·이조·형조의 판서를 역임했다.

1694년 장희재(張希載)가 동생인 희빈장씨(禧嬪張氏)에게 보낸 서한 중에 인현왕후(仁顯王后)에 대한 불온한 구절이 있다 하여 투옥되자, 노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장희재를 처형하면 혐의가 세자의 생모인 희빈에게 미친다 하여 장희재를 제주도에 유배시키는 선에서 사태를 수습했다. 그러나 이 일로 노론의 지탄을 받아 삭직되어 성외대죄(城外待罪)하기도 했다. 이후 우참찬·우의정·좌의정을 지내고 영의정에 올랐으나, 1698년 소론의 영수 최석정(崔錫鼎)을 변론하여 삭직되었다가 판중추부사로 전임되었다. 이듬해 다시 영의정이 되었으나 당쟁을 일삼는다는 노론의 탄핵을 받았다.

1701년 무고의 옥사가 일어나 희빈장씨가 연루되자 남구만과 함께 세자의 생모에게 사약을 내리는 일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다가 파직당하고 충청도 직산(稷山)으로 유배되었다. 1704년 석방되어 다시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나주 죽봉사(竹峰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간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유상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