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딧

다른 표기 언어 Book of Judith

요약 〈유딧〉 구약성경인 70인 역 성경의 일부분이 소책자이다. 학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유딧은 마카베오 반란 주동자인 유다 마카베오의 역할을 하는 상징적인 여성이며, 또 고대의 역사적 배경을 가장해 마카베오 반란 이후의 상황을 논하는 것으로 전쟁 후의 불안한 시기를 사는 팔레스타인 거주 유대인들을 격려하기 위해 저술되었다고 한다.
적의 공격을 악의 세력과 하느님 백성 사이의 전투로 보았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묵시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종교와 애국심이 동일시된다. 율법을 불순종하면 반드시 징벌을 초래할 것이라는 신념과 압박의 시기에도 신앙을 굳세게 지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역사적 오류가 많아 사실성이 의심되는 측면이 있다.

히브리어 성서 정경과 개신교 성서 정경에서는 제외되지만 70인역(히브리어 성서의 그리스어 번역본)에는 포함되어 있으며, 로마 가톨릭은 정경으로 인정한다. 〈유딧〉은 아시리아의 왕 네부카드네자르(느부갓네살)가 홀로페르네스 장군을 보내어 팔레스타인을 토벌하고자 한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유다의 베툴리아를 포위하고 있을 때 아키오르라는 이름의 장군이 홀로페르네스에게 유대인을 공격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라고 충고해준다. 미모의 유대인 과부인 유딧이라는 여인은 도주한 것처럼 가장하여 포위된 성을 떠나 홀로페르네스에게 가서 그가 승리할 것이라고 예언한다. 장군의 막사로 초대된 유딧은 그가 술에 취해 잠에 떨어져 있을 때 그의 목을 베고 그것을 부대에 넣어 베툴리아로 가져갔다. 지도자를 잃은 아시리아군을 제압한 유대인의 승리에 대한 이야기가 그 다음에 나온다.

이 책에는 역사적인 오류가 많기 때문에 역사성이 의심스럽다. 일부 학자들은 이와 비슷한 이야기가 성서(〈판관기〉의 야엘 이야기)와 미드라시의 해설 이야기에 있다는 것은 지금은 유실되었지만, 초기에(아마도 BC 6세기) 공통된 자료가 있었음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이 이야기를 완전히 꾸며낸 이야기로 보며, 무명의 팔레스타인 유대인이 마카베오 반란(BC 2세기)이 끝난 다음에 썼다고 본다.

이 견해에 따르면 유딧은 마카베오 반란을 주동한 사람인 유다 마카베오의 역할을 하는 상징적인 여성이라고 하며, 또한 〈유딧〉은 고대의 역사적 배경을 가장해서 마카베오 반란 이후의 상황을 논하는 것으로, 사실은 마카베오의 반란으로 일어난 전쟁이 끝난 후의 불안한 독립기를 살고 있던 팔레스타인 거주 유대인들을 격려하기 위해 저술되었다고 한다.

팔레스타인을 멸망시키려는 적의 공격을 악의 세력과 하느님 백성 사이의 전투로 보았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묵시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종교와 애국심이 동일시되고 있으며, 율법을 불순종하면 반드시 징벌을 초래할 것이라는 신념과 압박의 시기에도 신앙을 굳세게 지켜야 한다는 것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하느님의 섭리는 신적인 존재가 개입함으로써가 아니라 사람을 도구로 써서, 즉 이 경우에는 유딧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나의 문학 작품으로서 〈유딧〉은 연속적인 긴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히브리어·그리스어·시리아어·라틴어 판으로 각각 보존되었다는 것은 이 책이 고대에 널리 읽혔음을 입증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유딧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