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주요산업은 농업과 수산업이며, 최근 주변 관광지의 개발로 상업과 서비스업이 활발해지고 있다. 총경지면적 80.87㎢ 가운데 논이 44.86㎢, 밭이 36.01㎢이며, 경지율은 8.2%로 경상북도 내에서 가장 낮다. 그러나 농업가구는 4,940가구로 전체가구의 약 21.3%를 차지한다(2006). 주요농산물은 쌀·보리·감자·콩 등이지만 절대농지의 부족으로 식량의 자급이 불가능하다.
목축업은 한우사육과 양돈·양봉 등이 활발하며, 울진읍과 온정면을 중심으로 산양이 사육되고 있다. 군 제1의 산업인 수산업은 수산업협동조합이 있는 후포항과 죽변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동해난류가 흘러 어족이 풍부하다. 주요어종은 방어·이면수·명태·가자미·꽁치·오징어·쥐치 등이며, 북면 나곡리에서는 특산물로 고포미역이 생산된다. 어업가구는 1,062가구로 전체가구의 4.6%를 차지하며, 어선은 총 669척으로 그 가운데 동력선 619척, 무동력선 50척이다. 총어선 가운데 10t 미만의 어선이 93%를 차지하며 어업은 대체로 영세적이다(2006).
임야면적은 848.96㎢로 군면적의 85.8%를 차지하며, 그 이용도가 높다. 목재·죽재·밤·대추·버섯·산나물 등의 임산물 생산량이 많으며, 송이버섯이 연간 5만 2,039kg 생산되어 중요한 농외소득원이 된다. 총 117개 광구가 있으나 2006년 현재 가행광구는 56개소가 있다. 주요지하자원은 규석·고령토·석회석·운모 등이다. 제동흥산·남일통상 등에서 석회석·석회비료 등을 생산하고 있다.
산이 많고 교통이 불편해 공업이 극히 부진하며 제조업은 35개 공장에 746명의 종업원이 종사하고 있는데(2006), 미원수산·교양기업 등 소규모의 수산물가공공장과 제재·도정 공장이 있다. 북면 부구리에 있는 울진원자력발전소 1·2호기는 시설용량 95만kW급 2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력수요 급증에 따라 1992년 5월부터 100만kW급 3·4호기 건설공사에 착수해 1999년에 완공하였다.
예로부터 동해중부지역의 상업 중심지였던 울진군은 관광지의 개발, 동해고속화도로의 정비, 어업의 근대화 등으로 상업과 서비스업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정기시장으로 울진장·평해장·부구장·매화장·죽변장·후포장·척산장 등이 있다. 상설점포의 증가로 장세가 축소되고 있으나 아직도 장날이면 대구·포항 등지에서 상인들이 모여들어 성시를 이룬다. 거래상품은 주로 대구·포항 등에서 들어오는 의류·식품·생활필수품 등과 지역생산품인 농수산물이며, 소시장의 규모도 큰 편이다. 특히 후포장·죽변장·부구장은 수산물 거래량이 많다.
1990년 8월 울진읍에 토산품전시직매장이 개설되어 농산물·해산물과 목각공예품 등이 유통되고 있다. 서비스업은 주요관광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2006년 현재 음식점·술집·숙박업소 등이 총 1,177개소로 1995년 952개소와 비교할 때 약 23.6%의 증가율을 보였다. 울진-영주를 잇는 국도가 군의 중앙을 동서로 지나고 포항-양양을 잇는 국도인 동해고속화도로가 군의 동부 해안을 따라 지난다. 이 도로는 1979년 전구간이 정비·포장되었다. 죽변항과 후포항은 동해안의 주요어항이며, 연안교통의 기항지로서 1987년 후포-울릉도 간 159km의 항로가 개설되었다. 도로총길이 416.28km, 도로포장률 69.8%이다(2006).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울진군의 산업과 교통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