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운향목

다른 표기 언어 Rutales , 芸香目

요약 꽃피는식물의 한 목.

이 목의 식물에서는 식용 열매와 경재(硬材)를 얻을 수 있다.

12과(科) 324여 속(屬) 4,000여 종(種)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세계 열대지방에 퍼져 있으나 몇몇 속의 식물은 온대지방에도 자라고 있다. 멀구슬나무과(Meliaceae)는 이 목에서 가장 큰 과로 50속 1,400종의 수지나 기름샘이 없는 관목과 교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목의 식물로서 잘 알려진 종류로는 망고·캐슈·유향·몰약 등이 있다.

이 목의 일부 교목은 눈에 띌 만큼 키가 큰데 이르빙기아 말라이아나는 66m까지 자라기도 하며 나무 모양 또한 아름답다. 펜타스파돈속·글루타속·파리스히아속 등은 버팀목으로 이용된다. 망기페라 라게니페라의 나무 모양은 거의 반구형으로 탐스러우며, 드라칸토멜론 망기페룸은 어렸을 때 원추형이고 캄프노스페르마 아우리쿨라타는 끝이 편평하다.

아이글레속·귤속·리모니아속 등의 식물들은 가시가 있으며 카나리움속의 식물은 공기뿌리가 땅 위로 약 4m까지 뻗어 나오기도 한다.

필리넛(pili nut)

ⓒ WIKIMEDIA COMMONS (AlbertCahalan) | public domain

운향목에 속하는 많은 식물은 중요한 식량 공급원이다.

망고는 인류에게 처음으로 알려진 과일 중의 하나로 인도에서는 생활과 종교에 깊숙이 연관되어 있으며 열매의 모든 부분이 여러 용도로 이용된다. 캐슈는 씨알맹이를 구워먹으며, 피부 자극제가 들어 있는 껍질에서는 살충제, 전기 절연제,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데 쓰이는 액체를 얻을 수 있다. 캐슈애플(Cashew apple)은 식량으로 쓰일 뿐 아니라 와인을 증류할 때 이용된다.

캐슈(cashew)

열대와 아열대에서 자라는 상록관목

ⓒ Abhishek 야곱 / wikipedia | CC의 BY-SA 3.0

운향과(Rutaceae)의 레몬·향귤(C. aurantium)·오렌지·라임·온주밀감·그레이프프루트·시트론 등과 같은 감귤류는 식용 열매, 향수와 장식용으로 쓰이는 꽃, 열매의 껍질에서 추출되는 기름을 얻기 위해 재배된다.

라임(lime)

ⓒ WIKIMEDIA COMMONS (Wtstoffs) | public domain

금감속·스폰디아스속·아이글레속 등은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피스타치오는 열매인 피스타치오 때문에, 카나리움 콤무네도 열매인 자바 편도(扁桃) 때문에 귀하게 여겨진다.

이 목 식물의 붉은색을 띠는 경재는 가구재로 귀하게 쓰이는데 가공하기가 쉽고 광택이 있으며 특히 뒤틀림이 없다.

이러한 나무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아메리카 열대지방과 서인도제도에서 자라는 마호가니이다. 다른 종류로는 카라파 귀아넨시스, 크하이아 세네갈렌시스, 소이미다 페브리푸가, 키크라시아 타불라리스, 인도마호가니, 플린데르시아 옥슬레이아나 등이 있다.

아우코우메아 클라이네아나의 나무로 베니어와 합판을 만든다.

이 목에 속하는 식물에서는 타닌, 래커, 몰약, 유향, 카라나 검(carana gum), 길리아드 발삼, 코팔 등이 나온다. 수피(樹皮)도 약품으로 중요하게 쓰이는데, 코킬라나(cocillana)로 알려진 구아레아 루스비이의 수피는 토근제(吐根濟)와 성질이 비슷하다.

갈리페아 오피키날리스 에서는 강장제로 쓰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아시아 지방에서는 브루케아 아마리시마의 쓴 열매를 특히 이질 치료에 이용하고 있다. 운향은 마취제와 흥분제의 성분을 가지고 있다.

이 목의 일부 나무들은 관상용으로 가치가 있는데 이러한 종류로는 가죽나무, 멀구슬나무, 황벽나무속, 무라야 코이니기이 등이 있다. 멀구슬나무의 열매는 토끼·가금·돼지·소·양 등에 해를 끼치며, 디속실룸 앙구스티폴리움의 열매를 물고기가 먹게 되면 결국 사람이나 동물에도 그 해가 나타난다.

이밖에 사람에게 해를 주는 종으로 코리아리아속과 옻나무과의 루스 라디칸스가 있다.

모든 운향목 식물들은 다년생으로, 다수의 교목은 빨리 자라며 상록성이거나 낙엽성이다.

낙엽교목은 보통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핀다.

이 목 식물의 꽃은 색·향기·꿀로 인해 보통 작은 파리·벌과 같은 곤충들을 유인하여 꽃가루받이가 일어난다. 운향속의 식물은 주로 딴꽃가루받이를 하지만 제꽃가루받이도 가능하다. 열매는 다양한 형태로 맺히는데, 예를 들면 망고는 핵과(核果:1개의 씨를 가진 열매)를, 마호가니속은 삭과를, 가죽나무속은 시과(翅果)를, 일부 몰약류는 장과(漿果)를, 아이글레속은 단단한 껍질을 가진 장과를, 귤속은 감과(3개의 층이 있는 장과 같은 열매)를 맺는다.

한국에는 4과 13속 30여 종이 자라고 있다.

이중 대부분은 운향과에 속하는데, 초피나무속 식물들이 흔하며, 귤속 식물들은 흔히 과수로서 재배되고 있다. 멀구슬나무과 식물로는 중국에서 들어온 참죽나무·멀구슬나무가, 소태나무과 식물로는 소태나무·가죽나무가, 옻나무과에는 붉나무를 비롯하여 5종이 자라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속씨식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운향목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