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패각에 난 치(齒)와 치조(齒槽)로 만들어진 관절의 유무에 따라 완족류는 크게 유관절류와 무관절류의 2무리로 나누어진다.
무관절류는 패각이 근육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길쭉하고 혀처럼 생긴 개맛류가 그 예이다. 볼록한 패각은 중앙부에서 바깥으로 돌출했고 후반부로 가면서, 즉 경첩 부위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좁아진다. 긴 육질의 병부는 좁아진 끝에서 패각 사이로 삐져나온다. 개맛류의 병부는 대부분의 다른 완족류의 것과는 달리 유연하고 움직일 수 있어 바닥에 구멍을 파거나 다른 동물에 부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패각의 내부는 뒤쪽의 체강과 앞쪽의 외투강으로 나뉜다. 내부 기관들은 체강 안에 위치한다. 소화계는 입·식도·위·장·항문으로 구성되며 간(또는 소화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섭식할 때 복합 근육은 패각을 열어 옆으로 활주시킨다. 외투강 내에는 총담(總擔)이 들어 있다. 개맛류는 개펄이나 백사장의 바닥에 구멍을 파고 사는데 병부의 끝에서 점액을 내어 구멍의 바닥에 부착한다.
신축성이 있는 병부는 섭식할 때는 패각을 확장시키고, 놀라면 패각을 오므린다.
유관절류의 패각은 왈토니아속(Waltonia)이 대표적인데 2㎝ 정도로 작고 색깔은 붉은색이며 표면이 편평하거나 약간 주름져 있다. 유관절류의 패각은 무관절류의 것보다 매우 특수화되어 있고 3층으로 되어 있다.
바깥층은 각피층(periostracum)이라고 하며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고 화석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가운데 층은 탄산칼슘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쪽 층은 방해석질로 구성되며 작은 구멍이나 방해석으로 된 간상체가 많은 것이 대부분이다. 경첩을 가지는 많은 완족류는 섬유성의 병부로 바닥이나 표면에 부착한다. 일부 특수화된 형태는 복각(腹殼)의 부리로 바닥에 붙어 있다. 이것들은 몸이 뒤틀려서 비늘 형태나 굴껍질 또는 산호 모양을 갖는다. 또한 어떤 종류의 병부는 발육이 부진하여 패각이 바다의 바닥에 느슨하게 놓여 있다.
유관절류의 패각은 후반부가 좁아져서 부리처럼 되어 있다.
복각은 일반적으로 크다. 경첩은 좁거나 넓고 경첩이 있는 많은 속에서는 중복판(palintrope)이라고 불리는 편평하거나 굽은 선반 모양의 구조가 부리와 경첩선 사이에 있다. 배쪽 중복판은 중간부분에서 삼각공(delthyrium : 병부를 위한 3각형의 구멍)에 의해 나누어진다. 삼각공은 열려 있거나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작은 판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닫혀 있다. 일부 과(科)에서는 삼각공이 위삼각판(pseudodeltidium)이라는 1장의 판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닫혀 있다.
관절치(articulating teeth)는 삼각공의 모퉁이에서 생기며, 수직으로 된 치판(dental plate)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도 있다. 치판은 분리되거나 합쳐져서 주걱판(spondylium)을 형성한다. 치는 삼각치(deltidiodont teeth)와 굴곡치(cyrtomatodont teeth)의 두 유형이 있다. 삼각치는 앞쪽에서 중복판과 함께 자라서 삼각공 가장자리를 따라 성장선을 벗어나며, 굴곡치는 혹처럼 생겼고 경첩선이 없이 패각의 앞쪽에서 생겨 뒤쪽에서 혹의 형태로 정착된다.
배각은 부리로부터 유래한 굴곡돌기(crura)라고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일부 화석에서는 굴곡돌기 기부(crural bases)가 3각형의 강(腔)인 배삼각공(notothyrium)에 인접하고 개각근이 각층 위나 각정의 주돌기(cardinal process)에 부착되어 있다. 배삼각공은 배삼각판(chilidium)으로 닫혀 있다. 좀더 고등하게 진화한 속에서는 병부를 가지는 경첩판이나 등쪽의 폐각근이 굴곡돌기 기부 사이에서 생긴다. 경첩판이 불완전할 때는 이 판은 나누어지지만 납작하거나 오목한 구조가 형성되면 이 판은 나누어지지 않는다. 경첩판은 보통 가운데 격막이나 벽으로 지지된다.
경첩치조(hinge sockets)는 내부 패각벽과 치조융기 사이에 위치하고 치조융기에 경첩판이 부착한다. 많은 특수한 속에서 굴곡돌기는 총담의 내골격인 석회질의 나선고리를 지탱한다. 일부 무관절류의 병부 부위에도 같은 기능을 가진 구조물이 있지만 기원과 이름은 다르다.
유관절류 몸의 육질부는 체벽에 의해서 횡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앞쪽의 외투강은 해수로 채워져 있고 뒤쪽의 복강은 체액으로 채워져 있다.
복강에는 U-형의 소화관, 4개의 생식선, 간(또는 소화선)이 있으며 장간막으로 싸여 있다. 체강이 외투막으로 확장되어 있고 그 안에 정자와 난자가 들어 있다. 입은 주머니 같은 위와 연결되어 장에 이르고 항문은 없다. 위는 간으로 둘러싸여 있다. 폐기물은 입을 통해 배설된다. 신경계는 식도를 둘러싸고 있는 2개의 주신경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의 다른 부분에 신경지류를 보낸다.
배설기관인 신관이 대부분의 완족류에 1쌍씩 있는데, 일부에는 2쌍이 있다.
외투강은 패각을 분비하는 얇은 외투막에 에워싸여 있는데 외투막의 가장자리에는 강모들이 나 있다. 외투강 안에는 말편자 모양을 한 간단하거나 복잡한 고리 모양의 총담이 있다. 고리를 따라 있는 섬모가 달린 필라멘트는 먹이를 지닌 수류를 총담의 가지와 굴곡돌기 사이의 체벽에 있는 입으로 보낸다.
패각은 개각근의 수축으로 열리는데, 복각의 중심으로부터 등쪽 부리의 아래 돌기로 확장하는 개각근은 등쪽 부리를 앞으로 끌어당겨 경첩치를 연결하는 선 위에서 회전시킨다. 복각의 개각근 사이에 있는 폐각근이 수축하여 패각을 닫히게 한다. 병부로부터 배각의 경첩판까지 확장되는 병부근육 혹은 조절근은 병부 위에서 패각이 회전시킨다. 근육이 패각에 붙는 곳에는 근흔(scars)이 있는데, 이것은 속을 동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동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완족동물의 형태와 기능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