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완도군

다른 표기 언어 莞島郡
요약 테이블
위치 전라남도 남단
인구 46,530 (2024)
면적 396.36㎢
행정구역 3개읍 9개면 246개리
사이트 http://www.wando.go.kr/

요약 전라남도 남단에 있는 55개의 유인도와 210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진 군. 섬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완도대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된다. 대한민국 내륙 최남단에 위치하며, 완도항은 제주항과 가장 가까운 기항지이다. 특산물로는 전복·멸치·김 등이 있다. 면적 396.36㎢, 인구 46,530(2024).

대한민국 전라남도 남단에 있는 군. 완도를 비롯한 55개의 유인도와 210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구역은 완도읍·금일읍·노화읍·생일면·군외면·신지면·고금면·약산면·청산면·소안면·금당면·보길면 등 3개읍 9개면 89개 동리가 있다(법정리 기준, 행정리 기준 246개리). 군청소재지는 완도읍 청해진남로이다. 면적 396.36㎢, 인구 46,530(2024).

완도군

ⓒ 장길산/wikipedia | Public Domain

연혁

완도지역은 신석기 유적으로 패총 등이 발견되어 서남해안의 섬들처럼 신석기시대 이래 주민들이 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삼국시대에 백제의 영역이었던 이곳에 신라는 삼국통일 후인 829년(흥덕왕 3)에 청해진을 설치해 동양 삼국의 해상무역권을 장악하는 해상 활동의 근거지로 삼았다. 장보고는 이를 배경으로 중앙 정치에 진출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실패했고 851년(문성왕 13)에 청해진은 폐지되었다.

고려시대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완도는 강진에, 보길도 등은 영암에 속하는 등 이 지역은 하나의 독립된 행정체계로 결집되지 못했다. 그러나 1521년(중종 16) 완도에 가리포진이, 1596년(선조 29) 신지도에 신지도진이 설치되고, 정유재란중에 이순신이 고금도에 수군의 본영을 옮긴 것 등을 통해 이 일대가 서남해안 바닷길의 요충지로 기능했음을 알 수 있다.

1896년(고종 33) 영암·강진·해남·장흥에 속한 48개의 큰 섬과 52개의 작은 섬을 분리해 19개면으로 완도군을 설치함으로써 비로소 독립된 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고금면·금일면·청산면·노화면·군내면·군외면·신지면·소안면으로 재편되었다. 팔금면은 무안군에, 추자면은 제주군에 이관되었다.

1922년에 군내면이 완도면으로 개칭되었다가 1943년에 읍으로 승격되고, 1949년 고금면의 일부를 분리해 약산면을 신설했다. 1980년에 금일면과 노화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86년 금일읍 금당출장소가 금당면으로, 노화읍 보길출장소가 보길면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에는 금일면 생일출장소가 생일면으로 승격되었다.

인구

전체적으로 인구 유출 지역이다. 1970년의 인구는 14만 5,339명으로 1960년의 2만 9,597명에 비해 10년간 무려 391%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로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다. 1980년 12만 6,732명, 1995년 7만 4,033명, 2000년 6만 7,039명을 기록했다. 1980년~2000년 사이에 약 45%의 인구가 감소했다.

2000년대에도 감소추세가 지속되어 2005년 5만 9,065명, 2010년 5만 4,869명, 2015년 5만 3,014명으로 감소했다. 2024년 인구는 4만 6,530명, 2만 5,587가구, 가구당 인구는 1.82명을 기록했다. 읍면별 인구분포를 살펴보면 군내 인구의 약 35%가 완도읍(1만 7,245명)에 거주하고 있으며, 면 단위에서는 생일면(758명)에 인구가 가장 적게 분포한다(2024).

연혁

완도지역은 신석기 유적으로 패총 등이 발견되어 서남해안의 섬들처럼 신석기시대 이래 주민들이 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삼국시대에 백제의 영역이었던 이곳에 신라는 삼국통일 후인 829년(흥덕왕 3)에 청해진을 설치해 동양 삼국의 해상무역권을 장악하는 해상 활동의 근거지로 삼았다. 장보고는 이를 배경으로 중앙 정치에 진출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실패했고 851년(문성왕 13)에 청해진은 폐지되었다.

고려시대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완도는 강진에, 보길도 등은 영암에 속하는 등 이 지역은 하나의 독립된 행정체계로 결집되지 못했다. 그러나 1521년(중종 16) 완도에 가리포진이, 1596년(선조 29) 신지도에 신지도진이 설치되고, 정유재란중에 이순신이 고금도에 수군의 본영을 옮긴 것 등을 통해 이 일대가 서남해안 바닷길의 요충지로 기능했음을 알 수 있다.

1896년(고종 33) 영암·강진·해남·장흥에 속한 48개의 큰 섬과 52개의 작은 섬을 분리해 19개면으로 완도군을 설치함으로써 비로소 독립된 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폐합 때 고금면·조약면이 고금면으로, 생일면·평일면·금당면이 금일면으로, 청산면·여서면이 청산면으로, 노화면·보길면이 노화면으로 통합되었고, 군내면·군외면·신지면·소안면은 대부분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팔금면은 무안군에, 추자면은 제주군에 이관되었다.

1922년에 군내면이 완도면으로 개칭되었다가 1943년에 읍으로 승격되고, 1949년 고금면의 일부를 분리해 약산면을 신설했다. 1980년에 금일면과 노화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86년 금일읍 금당출장소가 금당면으로, 노화읍 보길출장소가 보길면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에는 금일면 생일출장소가 생일면으로 승격되었다.

자연환경

고흥반도와 해남반도 사이에 흩어져 있는 201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섬들은 소백산맥의 한 줄기인 해안산맥이 침강하면서 이루어진 것이다. 대체로 높이 300~600m 내외의 산이 분포하며, 완도의 상황봉(644m)·백운봉(600m)·숙승봉(432m), 보길도의 적자봉(425m), 생일도의 백운산(483m), 조약도의 삼문산(397m), 청산도의 매봉산(385m), 소안도의 가학산(359m) 등의 산들이 솟아 있다.

하천은 산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흘러 바다에 유입되므로 유로가 짧다. 대모도·소안도·보길도·신지도·청산도 등의 남쪽 해안은 해식애가 발달되어 있으며, 보길도·신지도·완도 북안과 노화도 남안에는 간석지가 넓게 발달되었다. 기후는 북서부에 있는 해남반도가 북서풍을 막아주고, 근해를 흐르는 난류의 영향으로 따뜻한 해양성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기온 13.9℃ 내외, 1월평균기온 2.4℃ 내외, 8월평균기온 25.6℃ 내외이며, 강수량은 한국의 3대 다우지에 속하는 곳으로 연평균강수량 1,471.5㎜ 정도이다.

청산도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구

전체적으로 인구 유출 지역이다. 1970년의 인구는 14만 5,339명으로 1960년의 2만 9,597명에 비해 10년간 무려 391%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부터는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다. 1975년 14만 1,074명, 1980년 12만 6,732명, 1995년 7만 4,033명, 2024년 4만 6,350명으로 계속 감소해가는 추세이며, 1995~2020년에 22.1%의 인구가 감소했다.

반면 가구수는 1970년 2만 4,685가구, 1980년 2만 4,917가구, 1990년 2만 3,488가구, 2020년 2만 6,219가구로 변화가 거의 없으며, 가구당 인구수는 1970년 5.9명, 1980년 5.1명, 1990년 3.7명, 2020년 1.91명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는 이촌향도에 의한 농촌지역의 인구유출과 함께 핵가족화를 반영하고 있다. 군내 인구의 36%가 완도읍(1만 7,245명)에 거주하고 있으며, 노화읍(4,057명)·고금면(3,952명)·금일읍(3,484명) 등에 비교적 인구가 많으며, 생일면(758명)·금당면(897명)에 인구가 적게 분포한다.

산업과 교통

총경지면적 92.37㎢ 중 논이 37.36㎢, 밭이 55.01㎢로, 밭이 논보다 많고 경지율은 23.4%이다(2006). 임야면적은 총면적의 66.1%를 차지하며 그 이용도가 높다.

완도군

완도여객선터미털,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요농산물은 보리·쌀·고구마·마늘·유채 등이며, 감귤재배도 이루어지고 있다. 수산업이 군의 중심산업으로 총 10,325척의 어선을 보유하고 있으며(2006), 연안에서 고등어·삼치·멸치·조기 등의 어획과 김·미역 등의 양식이 이루어진다. 특히 김 생산은 전국 생산량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군내에는 2006년 현재 2개 광구가 가행되고 있으며, 납석·고령토 생산이 활발하다. 금일읍·완도읍·노화읍에 주로 분포한 총 157개의 공장은 대부분 수산물가공공장이며 종업원수는 1,688명에 이르고 있다.

김채취 작업

어민들이 바다에서 채취한 물김을 담느라 분주하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간 쌀 생산량이 부족하여 시장의 주 거래품목은 쌀을 비롯한 농산물과 생활필수품이며, 김·미역은 수산업협동조합에서 위탁판매를 한다. 상설시장 3개소, 정기시장 5개소가 있다. 상설시장은 모두 완도읍에 있으며 정기시장은 완도읍 군내장, 군외면 군외장, 고금면 고금장, 노화읍 노화장, 금일읍 금일장이 있다. 완도교를 통해 완도만이 육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완도와 떨어진 주민의 생활권은 인접 지방과 연결된다. 즉 노화읍·소안면은 목포, 고금면·약산면은 강진군 마량면과 더욱 밀접하다.

완도에서 해남 ? 나주 ? 광주를 잇는 국도가 완도의 동쪽 해안을 따라 나 있고, 지방도가 완도읍 원동리에서 분기해 완도의 서부해안을 따라 나 있어 군내리에서 국도와 만난다. 청산도·보길도·노화도·소안도 등지를 중심으로 군내 정기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으나 군내의 섬들간의 교통은 그리 좋지 않다. 도로총길이 299.84km, 도로포장률 60.6%이다(2006).

유물·유적·관광

군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사적 3, 천연기념물 6, 명승 1), 도지정문화재(무형문화재 1, 기념물 3), 문화재자료 6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 빗살무늬토기가 고금면 덕동리에서 출토되었으며, 완도읍·노화읍 등지에서 150여 기의 고인돌이 발견되었다. 특히 청산면 읍리지석묘(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16호)는 선사시대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완도군

장도 청해진 유적지, 사적 제308호,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완도읍 장좌리의 장도에는 장보고가 설치한 장도청해진유적(將島淸海鎭遺跡 : 사적 제308호)과 장군사당(將軍祠堂)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완도읍 군내리의 신흥사(新興寺), 고금면 덕동리의 옥천암(玉泉庵)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완도향교(莞島鄕校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07호)·완도객사(莞島客舍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09호)가 있다. 또한 이순신이 정유재란 때 수군본영을 두었던 묘당도이충무공유적(廟堂島李忠武公遺蹟 : 사적 제114호), 윤선도(尹善道)가 머물렀던 보길면 부황리 부용동의 보길도윤선도유적(甫吉島尹善道遺蹟 : 사적 제368호), 고금면 청룡리의 도요지, 청산면 읍리의 하마비(下馬碑)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로는 완도읍 주도(珠島)의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28호),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40호), 완도 예송리의 감탕나무(천연기념물 제338호) 등이 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며, 아름다운 해상경관과 깨끗한 모래사장, 상록수림 그리고 많은 문화유적을 간직하고 있어 군 전체가 주요 관광자원이 되고 있다. 특히 상록수림이 울창한 주도와 국민관광지인 신지면 신지도해수욕장을 비롯한 유명 해수욕장,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소안군도 등이 대표적 관광지이다.

보길도에는 윤선도의 유적지인 부용동과 예송리해수욕장이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구계등(명승 제3호)으로 불리는 완도읍 정도리 해안도 인상적이다. 숙박시설과 우체국·파출소·관광안내소 등의 편의시설은 신지도와 보길도에 집중되어 있다. 연간관광객이 약 353만 8,197명에 달하고 있다(2006). 1981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제주-완도 간 쾌속 페리호가 운항되고 있고 제주도와 연계관광지로 개발되면 해상관광지로의 발전이 더욱 기대된다.

교육·문화·의료·복지

전통 교육기관으로 완도향교가 있었으며, 최초의 근대 교육기관은 1906년에 개교한 사립육영학교(지금의 완도초등학교)이다. 2016년 기준 유치원 24개소, 초등학교 21개교, 중학교 12개교, 고등학교 6개교가 있다.

완도수산고등학교

전라남도 완도군에 있는 완도수산고등학교

ⓒ hyolee2/wikipedia | CC BY-SA 3.0

완도문화원에서는 각종 문화행사를 주관하고 완도군의 대표적 유적지인 장보고의 청해진 유적조사 등의 향토문화 개발에 힘쓰고 있다. 향토문화제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는 청해제와 장군당제가 있다. 대표적인 민속놀이로는 강강술래와 세시놀이 등이 있는데 그 가운데 강강술래는 특히 유명하다.

장군당제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설화로는 〈마귀할멈과 구무섬 전설〉·〈피내리고랑전설〉 등이 전해지고 있다. 노동요는 다른 지방과는 달리 반농반어의 생활을 영위하는 까닭으로 〈청해엮자〉·〈새보는노래〉·〈농부가〉·〈베틀노래〉·〈제초가〉 등 많은 노래가 전해오고 있으며, 그 가운데 〈청해엮자〉는 장보고를 노래한 것이다. 그밖에도 〈사랑가〉 등이 있다.

2016년 기준 의료기관은 병원 1개소, 의원 24개소, 치과병원 11개소, 한방병원 10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29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305개소, 보육시설 25개소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전라남도

전라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전복 양식장


[Daum백과] 완도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