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오코늘

다른 표기 언어 Daniel O'Connell
요약 테이블
출생 1775. 8. 6, 아일랜드 케리 케이르키빈 근처
사망 1847. 5. 15, 사르데냐 왕국 제노바
국적 아일랜드

요약 아일랜드의 민족운동지도자.
별칭은 The Liberator.

오코늘(Daniel O'Connel)l

ⓒ Bernard Mulrenin/wikipedia | Public Domain

19세기에 영국 하원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였다. 프랑스 두에에 있는 가톨릭대학에서 공부하다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자 학교를 떠나 런던으로 갔고, 법학을 공부해 1798년 아일랜드에서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 능숙한 말솜씨로 법정을 민족주의의 공개토론장으로 만들곤 했다.

일찍이 1797년에 혁명적 결사인 아일랜드인 연합에 가입했지만 이듬해의 아일랜드 봉기에 참여하는 것은 거부했다. 1800년 8월 1일 통합법에 의해 아일랜드 의회가 폐지되자, 영국 의회가 아일랜드 국민을 대표한다는 명분을 정당화할 수 있으려면 반가톨릭 법률들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교황의 묵인하에 정부는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가톨릭 대주교 임명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는 이유로 1813년부터 여러 가지 가톨릭 구제안에 반대했다. 가톨릭교도의 상설 정치조직체는 불법이었으나 단지 합법적인 요구를 청원하기 위해 일련의 전국적인 '대중 집회'를 조직했다.

1823년 5월 12일 리처드 랄러 실(1791~1851)과 함께 가톨릭 협회를 만들었는데, 곧 아일랜드 사제단과 변호사, 그리고 교육받은 가톨릭 평신도들의 지지를 받았다. 결국 회원이 많아지자 정부도 이 협회를 억압할 수 없었다. 1826년 신가톨릭협회로 재편된 이 협회는 대지주층의 후원을 받는 몇몇 의원 후보자들을 낙선시켰다. 오코늘 자신은 가톨릭교도였으므로 하원의원이 될 자격이 없었지만, 1828년 7월 클레어 주에서 영국 정부와 가톨릭교도 해방을 모두 지지하는 입후보자에게 승리했다. 이 사건은 결과적으로 영국 총리 웰링턴 공작 1세 아서 웰즐리에게 정치적 압력으로 작용해 아일랜드의 가톨릭 세력에 대한 중대한 양보조치를 얻어냈다.

1829년 가톨릭교도 해방령이 통과되었고 이윽고 오코늘은 재선거라는 형식적 절차를 통해 단독 입후보해서 하원의원이 되었다. 1835년 4월 로버트 필 경의 보수당 내각을 무너뜨리는 데 공헌했고, 같은 해에 '리치필드 하우스 협정'에 합의했는데, 이 협정에서 그는 정부가 개혁조치를 시행하는 동안 아일랜드의 '완전한 평온'을 휘그당 지도자들에게 약속했다.

뒤이어 그의 아일랜드인 지지자들('오코늘의 꼬리'로 알려짐)과 함께 멜버른 자작 2세 윌리엄 램의 취약한 휘그당 내각(1835~41)을 지원했다. 그러나 1839년 아일랜드에게는 휘그당이 보수당보다 더 나을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영국과 아일랜드 합동을 해체하기 위해 합동폐지협회를 만들었다. 아일랜드 전역에 걸친 일련의 대중집회 때문에 국가내란 음모 혐의로 체포되어 3개월간(1844. 6~9) 감옥생활을 하다가 항소심에서 풀려났다. 그뒤 건강이 급속히 악화되었고 민족주의운동의 주도권은 급진적인 청년 아일랜드당으로 넘어갔다.

그에 관한 전기는 아들인 존 오코늘이 쓴 〈다니엘 오코늘 의원의 삶과 연설 The Life and Speeches of Daniel O'Connell, M. P.〉(1846)과 데니스 롤스턴 그윈의 〈아일랜드의 해방자 다니엘 오코늘 Daniel O'Connell, The Irish Liberator〉(1930)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오코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