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오카라

다른 표기 언어 Gabriel (Imomotimi Gbaingbain) Okara
요약 테이블
출생 1921. 4. 21, 나이지리아 이조 부모디
국적 나이지리아

요약 나이지리아의 시인·소설가.

아프리카의 근본적인 문제를 예리하게 깨닫고 있었던 작가로서, 그의 시는 고국 나이지리아에서 널리 알려져 1960년대초까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소설 〈목소리 The Voice〉(1964)는 괄목할 만한 언어실험으로, 아프리카의 사상·심상을 문자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 이조어의 통사론을 영어에 그대로 적용하여 이조어를 직역한 작품이다.

주로 독학을 했고, 학교를 그만둔 뒤 책 제본공이 되었으며 라디오 방송극과 특집극을 쓰기 시작했다. 1953년에는 시 〈눈 강의 외침 The Call of the River Nun〉으로 나이지리아 예술제에서 상을 받았으며, 1960년에는 노련한 장인으로서 인정을 받았다. 1956년 미국 일리노이 에번스턴에 있는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저널리즘을 공부했고, 1963년 바이에른 미술 아카데미 초청으로 독일에 가서 공부했다.

그는 집단적인 서정적 음성으로 상징들이 깔끔하게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일련의 대조를 통해 자신의 시를 발전시키고자 했다. 그의 시에는 삶과 죽음을 주제로 극단적인 경험을 조화시키려는 욕구가 깔려 있으며, 일상 현실에서 기쁨의 순간으로 갔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순환운동이 특징적이다.

오카라는 산문뿐 아니라 시에서도 아프리카의 사상·종교·민속문학·심상 등을 구체화시켰으며, 자신의 사상을 모국어인 이조어에서 가능한 한 글자 그대로를 영어로 번역하는 작문법을 쓰기도 했다. 따라서 〈목소리〉에서는 그의 산문의 물리적 특성이 모국어의 관용어·가락·어순을 반영하고 있다. 〈목소리〉는 다른 면에서도 특이하다.

이 작품은 당시의 논쟁점을 탐색하면서 산문과 시를 합쳐 빛과 어둠, 이상주의와 물질주의가 힘을 겨루고 있는 상징적 경관을 만들어낸다. 주인공 오콜로는 개인이면서 보편적인 인물로서 그가 찾고 있는, 잠깐 있다 사라지는 덧없는 존재인 '그것'은 모든 사람이 애써 탐구해야 할 많은 도덕적 가치 또는 이상적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책은 비극으로 끝을 맺지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느낌과 전통과 서구 양식 사이에서 절대적인 선택을 하지 않아도 새로운 질서가 발전하고 있다는 인상을 남긴다. 오카라는 주인공의 내적 긴장을 능숙하게 묘사하여, 너무나 자주 판에 박힌 등장인물에 의존하는 나이지리아의 많은 동료 소설가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된다.

1960년대의 대부분을 에누구에 있는 동부 나이지리아 정부기관에서 공보담당 공무원으로, 나이지리아 내란기인 1967~69년에는 비아프라 공보담당관으로 일했다. 1969년 소설가인 치누아 아체베와 시프리안 에크웬시와 함께 미국으로 여행하면서 비아프라의 이보족에 대한 원조를 구하기 위해 여러 대학교에서 강연했다. 1972~80년 포트하커트에 있는 리버스 주 출판국장을 지냈다. 시집 〈어부의 탄원 The Fisherman's Invocation〉(1978)으로 1979년 연방공화국상을 받았다.

오카라는 아프리카인의 잡지 〈블랙 오르페우스 Black Orpheus〉·〈트랜지션 Transition〉에도 기고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오카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