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오산시

다른 표기 언어 烏山市
요약 테이블
위치 경기도 남서부
인구 230,108 (2024)
면적 42.73㎢
행정구역 6개동 287개통
사이트 http://www.osan.go.kr/main.do

요약 경기도 남서부에 있는 시. 본래 지금의 화성시에 소속된 지역이었으나 1989년 분리되었다. 수도권 주변 도시로, 서울-대전을 잇는 교통축에 있어 인구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서울-목포 국도와 경부선, 경부고속도로, 남부와 북부의 지방도 등 교통이 사통팔달로 연결되어 있다. 독산성 세마대지가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면적 42.73㎢, 인구 230,108(2024).

대한민국 경기도 남서부에 있는 시.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의 연결선상에 있으며, 1989년 1월 시로 승격, 화성군(지금의 화성시)에서 분리되었다. 중앙동·대원동·남촌동·신장동·세마동·초평동 등 6개동이 있다(행정동 기준, 법정동 기준은 24개). 시청소재지는 경기도 오산시 성호대로 141이다. 면적 42.73㎢, 인구 230,108(2024).

오산시

오산시 행정구역

ⓒ Asfreeas/wikipedia | CC BY-SA 3.0

연혁

오산시는 20세기초까지 수원의 초평면·청호면·산성면·문시면 지역이었다. 수원은 삼국시대의 매홀군(買忽郡)인데, 통일신라 757년(경덕왕 16)에 수성군(水城郡)으로 개칭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수주(水州)로 승격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수원부로, 1362년(공민왕 11)에 군으로 강등되었다가 곧 부로 복구되었다. 조선초 1413년(태종 13)에 도호부가 되었으나, 1526(중종 21)~35년에 군으로 강등되기도 했다.

1796년에 수원성 축성이 완료되어 수원은 신도시로 변모했다. 1895년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 수원군, 1896년에 경기도 수원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남양군이 폐지되어 합속되고, 광주군(지금의 광주시)·안산군(지금의 안산시)의 일부가 편입됨으로써 면적이 크게 확장되었다.

이때 면의 폐합도 이루어졌는데, 초평면·청호면·산성면·문시면을 통합한 성호면이 지금의 오산시에 해당한다. 1949년에 수원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이 화성군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성호면도 오산면으로 개칭되었다. 1960년에 오산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화성군 동탄면 금곡3리를 편입했고, 1989년에 오산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화성군에서 분리되어 중앙동·남촌동·신장동·세마동·초평동·역촌동 등 6개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1991년 역촌동의 명칭을 대원동으로 변경했다. 1995년에는 평택시 진위면의 갈곶리·고현리·청호리 각 일부를 대원동으로 편입했다.

인구

서울-대전을 잇는 교통축에 해당하는 수도권 주변 도시로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1980년에 4만 4,835명이었던 인구가 시로 승격된 이후 1990년 5만 9,492명, 1999년에는 8만 5,234명으로 늘어나면서 1990~99년에 43.27%의 인구증가율을 기록했다. 2000년에는 10만 6,457명, 2005년 13만 1,377명, 2023년 22만 9,704명으로 증가했다. 1990년 인구에서 약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가구수도 급격히 증가하여 1990년 1만 5,183가구에 불과했던 것이 2000년에는 3만 5,074가구, 2005년 4만 7,265가구를 기록하면서 급증했다. 2020년 가구수는 9만 9,081가구이다. 이에따라 인구밀도 또한 높아졌다.

인구의 약 70%가 대원동·신장동·중앙동에 몰려있다. 초평동의 거주인구는 2만 명에 미치지 못한다. 시가지는 오산천 동쪽의 시 동남부에 경부선과 서울-목포를 잇는 국도를 끼고 발달되어 있는데, 이는 남쪽 평택시 진위면 방면으로 확대되고 있다. 대원동 일대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인구유입의 주요 요인이 되었다.

연혁

오산시는 20세기초까지 수원의 초평면·청호면·산성면·문시면 지역이었다. 수원은 삼국시대의 매홀군(買忽郡)인데, 통일신라시대인 757년(경덕왕 16)에 수성군(水城郡)으로 개칭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수주(水州)로 승격하고, 995년(성종 14)에 도단련사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에 폐지했다.

1018년(현종 9)에 수주군(水州郡)이 되어 진위(振威) 등 8현을 속현으로 포함했다. 1271년(원종 12)에 수원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후에 수주목(水州牧)으로, 1310년(충선왕 2)에 수원부로, 1362년(공민왕 11)에 군으로 강등되었다가 곧 부로 복구되었다. 조선초 1413년(태종 13)에 도호부가 되었으나, 1526(중종 21)~35년에 군으로 강등되기도 했다.

1789년(정조 13)에 팔달산 동쪽으로 수원의 읍치가 이전되고, 1793년(정조 17)에 유수부로 승격되었으며, 1796년에 수원성 축성이 완료되어 수원은 신도시로 변모했다. 1895년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 수원군, 1896년에 경기도 수원군이 되었다. 이때 경기도 관찰부가 수원에 위치했으나, 1910년에 서울로 옮겨갔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남양군이 폐지되어 합속되고, 광주군(지금의 광주시)·안산군(지금의 안산시)의 일부가 편입됨으로써 면적이 크게 확장되었다. 이때 면의 폐합도 이루어졌는데, 초평면·청호면·산성면·문시면을 통합한 성호면이 지금의 오산시에 해당한다. 1949년에 수원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이 화성군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성호면도 오산면으로 개칭되었다. 1960년에 오산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89년에 시로 승격되어 화성군에서 분리되었다.

자연환경

시의 서부와 동부에는 높이 200m 이하의 낮은 산지가 있고, 중부는 높이 50m 내외의 구릉지와 충적평야가 발달해 있다. 동부산지는 서부산지보다 낮다. 양산봉·노적봉·여계산·필봉 등이 솟아 있으며, 노적봉과 필봉은 화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시의 남동부를 오산천이 장지천과 가장천을 합치면서 남쪽으로 흘러 진위천으로 유입된다. 수원 방면에서 흘러나오는 황구지천은 북서부에서 화성시와 경계를 이루면서 오산천과 나란히 남류한다. 이들 하천 양안에는 비교적 넓은 충적평야가 발달해 있다.

황구지천

ⓒ Jpbarrass/wikipedia | CC0

연평균기온 12.4℃ 내외, 1월평균기온 -3.2℃ 내외, 8월평균기온 26℃ 내외, 연평균강수량은 1,616.4㎜ 정도로 비가 많다. 구릉지 일부와 산지는 소나무·떡갈나무·참나무 등의 숲으로 덮여 있다.

인구

서울-대전을 잇는 교통축에 해당하는 수도권 주변 도시로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1980년에 4만 4,835명이었던 인구가 시로 승격된 이후 1990년 5만 9,492명, 1999년에는 8만 5,234명으로 늘어나면서 1990~99년에 43.27%의 인구증가율을 기록했다. 가구수도 같은 기간에 1만 5,183가구에서 2만 7,712가구로 82.5%가 늘었다. 2024년 기준 인구는 23만 108명, 가구수는 10만 4,802가구로 대폭 증가했다. 인구의 약 70%가 동남부 시가지에 모여 있다. 시가지는 오산천 동쪽의 시 동남부에 경부선과 서울-목포를 잇는 국도를 끼고 발달되어 있는데, 이는 남쪽 평택시 진위면 방면으로 확대되고 있다. 원동 일대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다.

산업과 교통

오산시

누읍동공업단지, 경기 오산시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농업과 제조업이 중심 산업이다. 총 경지면적 5.7㎢ 가운데 논이 3.59㎢, 밭이 2.1㎢로, 경지율은 13.5%이다(2013). 쌀과 각종 채소류가 주요농산물이며, 특용작물인 인삼이 생산된다. 축산업은 소규모로 행해지나 한우·젖소·닭·산양·토끼·오리 등의 사육이 활발하다. 임야는 12.19㎢로 시 면적의 28%를 차지하며, 대추·밤·은행 등의 임산물이 생산된다.

2013년 기준 135개의 제조업체에 8,696명의 종업원이 있으며, 기계공업·화학공업·제지공업·1차금속공업이 발달했다. 전기·전자공장으로는 LG전자·(주)경성 등이 있으며, 화학공장으로는 P&G·계성제지·피어리스화장품 등이 있다. 그밖에 대성모방·미원모방 등의 큰 공장이 있으며, 제조업체의 대부분이 오산천 주변과 서울-목포를 잇는 국도변에 입지해 있다.

서울-목포 잇는 국도와 경부선이 시의 중동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면서 교통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다. 시가지 동쪽으로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며, 오산 인터체인지를 통한 교통량이 많다. 그밖에 남부와 북부에 지방도가 동·서로 가로놓여 인접한 용인시·화성시와의 교통이 편리하다. 서울·수원·천안·대전과는 1시간 이내의 거리로 시외 버스가 수시로 운행되고 있으며, 평택과는 하나의 도시 교통권으로 묶여 있다. 도로총길이 303.824km, 도로포장률은 46.0%이다(2013).

유물·유적·관광

국가지정문화재(사적 1)·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 기념물 2)가 있다.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이 금암동에서 발견되었으며, 그밖에 수청동·외삼미동에서 고인돌로 추정되는 거석이 발견되었다. 불교문화재로 지곶동의 보적사가 있다.

독산성

오산시 지곶동에 있는 독산성, 사적 제140호, 권율 장군이 임진왜란 때 일본군을 물리친 전승지이다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사찰은 삼국시대에 독산성을 쌓은 다음 전승을 기원하기 위해서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독산성은 권율장군이 임진왜란 때 왜적을 물리쳤던 전승지로 독산성 및 세마대지가 사적 제1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궐동에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인 공서린을 기리기 위해 1792년에 세운 궐리사가 있다. 궐리사에는 1904년 조병식(趙秉式) 등이 그린 <궐리사성적도(闕里祠聖蹟圖)>(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2호)가 소장되어 있다. 내삼미동에는 6·25전쟁에 참전한 국제연합(UN)군 최초의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서 세운 UN군 초전기념비가 있다.

관광지로는 사적지이기도 한 독산성 및 세마대지가 대표적이며, 원동에서 평택시 진위면 동천리에 이르는 만기사자연경관로도 전국순례자연보도로서 주변경관이 빼어나고, 도로변에는 주말 어린이농장이 있다.

교육·문화·의료·복지

전통교육기관으로 궐리사가 있었다. 근대교육기관은 1913년에 오산공립보통학교(지금의 성호초등학교)가 설립되었고, 뒤이어 삼미의숙·광성학원 등이 문을 열었다. 2018년 기준 유치원 50개소, 초등학교 23개소, 중학교 9개소, 고등학교 8개교, 전문대학 1개교, 대학교 1개교, 대학원 3개교, 기타학교 1개교가 있다.

성호초등학교

경기 오산시 중앙동에 위치한 성호초등학교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오산동에 있는 화성문화원은 1964년 개원한 이래 오산시와 화성시의 향토사 연구와 향토사료 발굴·정리에 노력하면서 매년 오산시민의 날을 비롯한 각종 문화예술행사를 주관·후원해 향토문화의 계승·발전에 공헌하고 있다. 대표적인 민속놀이로는 윷놀이·두레놀이 등이 있는데, 윷놀이는 매년 음력 정월에 오산시장 광장에서 1주일간 계속된다. 내삼미동의 필봉산신제는 부락제를 재현한 민속으로 매년 음력 9월 30일에 행해진다.

주요 설화로는 <독산성과 세마대설화>·<방아못과 부처전설>·<억억다리와 만리굴전설> 등이 전해지며, 민요 중에서는 노동요인 <논매기소리>와 신앙요인 <목살경>이 독특하다. <목살경>은 집안에 환자가 있을 때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나무의 가지를 잘라다 3명이 마루에 앉아서 베짤 때 쓰는 도투마리를 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2017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3개소, 병원 3개소, 의원 98개소, 특수병원 1개소, 요양병원 4개소, 치과병원 66개소, 한의원 36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1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121개소, 노인주거복지시설 1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13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10개소, 여성복지시설 1개소, 장애인복지시설 2개소, 어린이집 256개소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기도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오산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