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정구(鄭逑 : 1543~1620)가 참최(斬衰)·자최(齊衰)·대공(大功)·소공(小功)·시마(緦麻) 등 5가지 상복의 연혁을 도표로 밝힌 책.
1책 22면. 목판본. 문인 이윤우(李潤雨)가 1629년(인조 7)에 간행했고, 1664년(현종 5) 후손 만화(萬和)·홍석(洪錫)이 필사본을 바탕으로 재간행했다. 이윤우의 발문에 따르면 이 책은 저자가 의례오복도(儀禮五服圖)를 근간으로 역대 상복제도의 연혁을 수집하여 작성한 것이다.
내용은 신위군복도(臣爲君服圖 : 신하가 임금을 위해 입는 상복도)·신종군복도(臣從君服圖 : 신하가 임금을 좇아 입는 상복도)·공자복지도(公子服之圖 : 공자에 입히는 상복도)·위인후자위기본종복도(爲人後者爲其本宗服圖 : 후손이 그 본종을 위해 입는 상복)·본종위인후자복도(本宗爲人後者服圖 : 본종이 후손을 위해 입는 상복도)·위인후자지처위부본종복도(爲人後者之妻爲夫本宗服圖 : 아내가 남편 일가를 위해 입는 상복도)·처당위기복도(妻黨爲己服圖 : 처가에서 자기를 위해 입는 상복도) 등 12목(目) 35표(表)로 되어 있다.
이 책은 이 시기 상복례(喪服禮)의 기준서로 특히 영남지방에서 존중된 것이며 뒤에 예송논쟁(禮訟論爭)의 원인이 된 책이기도 하다. 규장각·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