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60. 7. 16, 덴마크 라네르스 |
---|---|
사망 | 1943. 4. 30, 로스킬레 |
국적 | 덴마크 |
요약 덴마크의 언어학자, 영문법의 선구적인 권위자.
유럽의 언어교수법에 혁신을 일으키고 음성학, 언어학 이론, 영어사 진보에 크게 기여하는 한편, 국제어인 노비알어를 고안했다.
어린시절 덴마크의 유명한 언어학자 라스무스 라스그의 업적에 감명받아, 그의 문법책을 이용하여 아이슬란드어·이탈리아어·스페인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원래 법률을 공부할 작정이었지만, 때마침 음성학과 언어교수법 개혁이 주요관심사가 되자 언어를 연구하기로 결심했다. 코펜하겐대학교에서 프랑스어로 석사학위를 받기 1년 전인 1886년 음운법칙에 관한 첫번째 주요논문을 발표했고, 언어교육법을 개혁하기 위해 스칸디나비아 협회 창설에 이바지했다.
코펜하겐대학교에서 영어 교수로 있는 동안(1893~1925) 일상 언어를 바탕으로 한 외국어 교수법 운동을 이끌었고, 평생 동안 수많은 교과서를 썼다. 그가 쓴 교과서는 덴마크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쓰이게 되었다. 그는 〈외국어 교수법 Sprogundervisning〉(1901)에서 언어교수법의 이론적 고려사항을 제시했으며, 영어에 관한 많은 책을 출판했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저서 가운데 하나인 〈영어의 성장과 구조 Growth and Structure of the English Language〉(1905)는 1969년 재간행되었다. 이 분야에서 그가 남긴 위대한 업적은 백과사전식 〈현대 영문법 Modern English Grammar〉(7권, 1909~49)이다.
그는 언어에서 소리와 뜻의 상관관계에 특히 관심이 많았다. 그밖의 주요관심사였던 언어학적 발달은 다윈의 진화론에서 영향을 받았고, 초기 저서인 〈언어 발전, 특히 영어에 관하여 Progress in Language, with Special Reference to English〉(1894)에 이미 반영되어 있다. 또한 〈음성학 Fonetik〉(1897~99)은 오랫동안 일반 음성학을 가장 과학적으로 훌륭하게 다룬 저서로 알려져 있다.
〈언어의 논리 Sprogets logik〉(1913)는 문법이론에 매우 독창적인 공헌을 했다. 언어학의 진화에 관한 주요저서인 〈언어 : 그 본질과 발전 및 기원 Language : Its Nature, Development, and Origin〉(1922)은 그의 가장 훌륭한 업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언어학적 변화의 효율성에 대한 그의 신념은 〈문법론 The Philosophy of Grammar〉(1924)에 분명히 드러나 있다. 그는 국제보조언어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졌고, 이도어를 만드는 데 이바지했지만, 이 분야에서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노비알어를 고안한 것이다. 그는 〈국제 언어 International Language〉(1928)에서 이 언어를 선보였고 1930년 노비알어 사전을 출판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