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예서

다른 표기 언어 隸書

요약 한자 서체의 하나.

예서체

추사 김정희가 쓴 예서체 '죽로지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전서를 간략화한 것으로 좌서라고도 한다. 일설에는 중국 진(秦)의 시황제(始皇帝) 때 옥리였던 정막이 옥에 종사하는 사무원들의 문서가 번잡한 것을 줄이기 위해 대전을 개선하여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예서라는 명칭이 생겨났다고 한다. 그러나 소전과 마찬가지로 진대에 시작되었다는 것이 통설이며, 한대(漢代)에 전서를 대신해 공식문자로 통용되었다.

역사적으로 예서와 팔분·고예·해서의 명칭이 혼용되고 있으나, 예서는 고예와 분예가 중심이다. 고예, 즉 진예는 전서를 빠르게 쓴 것으로 진대에 시작되어 전한 때 통용되었는데 파책(삐침)이 없는 소박한 서체가 특징이며 한대의 관지자체와 유사하다. 분예, 즉 한예는 고예가 변한 것으로 고예의 글자체와 거의 같으나 파책이 발달된 것이 특징이다.

후한시대에 완전한 형태가 이루어져 널리 통용되었고, 특히 비각에 많이 사용되었다. 위진시대 이후에는 차츰 파책이 약해지고, 여기에 점(點)·탁(啄)·도(挑)·적(趯)을 더하여 더욱 유연하고 매끄러운 서체로 변형되었는데 이것을 해서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말기 완당 김정희의 독특한 예서와 이광사의 예서가 대표적으로 꼽힌다.→ 서예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서예

서예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예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