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충청남도 중북부 |
---|---|
인구 | 77,462 (2024) |
면적 | 543.13㎢ |
행정구역 | 2개읍 10개면 304개리 |
사이트 | http://www.yesan.go.kr/ |
요약 충청남도 중북부에 있는 군. 삽교읍 일원이 내포신도시 2차 개발지역에 포함되면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산물로는 사과와 한우가 유명하며, 관광지로 덕산면에 있는 윤봉길 의사의 생가와 충의사, 신암면의 추사 김정희 고택, 덕산온천 등이 있다. 면적 543.13㎢, 인구 78,310(2024).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북부에 있는 군. 예로부터 충절의 고장으로 알려져왔으며, 비구니의 도량인 수덕사와 광활한 예당평야가 있다. 행정구역은 예산읍·삽교읍·고덕면·광시면·대술면·대흥면·덕산면·봉산면·신암면·신양면·오가면·응봉면 등 2개읍 10개면 304개리가 있다(행정리 기준, 법정리 기준 177개리). 군청소재지는 예산읍 사직로이다. 면적 543.13㎢, 인구 78,310(2024).
연혁
지금의 예산군은 옛 예산현·대흥군·덕산현이 합해 이루어진 군이다. 옛 예산현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고산현 또는 오산현인데, 신라의 삼국통일 후 행정구역 개편으로 임성군(任城郡)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초에 예산현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초의 군현제 개편에 의해 1413년(태종 13)에 예산현이 되어 1895년까지 유지되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6년에 충청남도 예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대흥군과 덕산군이 폐지되고 예산군에 병합됨으로써 면적이 크게 넓어졌다. 이때 면의 폐합도 이루어져 대술면·임성면·오가면·신암면으로 재편되었고, 덕산군의 11개면을 4개면으로, 대흥군의 8개면을 4개면으로 통폐합해 예산군에 속해졌다. 1917년 임성면이 예산면으로 개칭되었고, 1940년에 예산면이, 1973년 삽교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대흥현, 덕산군).
인구
1965년 18만 45명을 정점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1965~95년 30년 사이에 31.5%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이촌향도와 핵가족화의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2000년 이후에도 인구감소가 지속되었다. 2000년 인구 10만 1,660명에서 2010년 8만 8,228명, 2015년 8만 3,484명으로 감소해왔다. 2024년 기준 인구는 7만 8,310명, 가구수는 4만 244가구, 가구당 인구는 1.95명이다. 예산읍(3만 1,031명)에 군 전체 인구의 43%가 집중되어 있으며, 대흥면(1,670명)에는 인구가 가장 적다.
연혁
지금의 예산군은 옛 예산현·대흥군·덕산현이 합해 이루어진 군이다.
옛 예산현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고산현 또는 오산현인데, 신라의 삼국통일 후 행정구역 개편으로 임성군(任城郡)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초에 예산현으로 개칭하고, 1018년(현종 9)에 천안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후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다.
조선초의 군현제 개편에 의해 1413년(태종 13)에 예산현이 되어 1895년까지 유지되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홍주부 예산군, 1896년에 충청남도 예산군이 되었으며, 1906년 월경지 정리에 따라 천안군의 비입지인 신종면이 편입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대흥군과 덕산군이 폐지되고 예산군에 병합됨으로써 면적이 크게 넓어졌다.
이때 면의 폐합도 이루어져 예산군의 대지동면·술곡면이 대술면으로, 군내면·금평면이 임성면으로, 우가산면·거구화면·오원리면이 오가면으로, 입암면·두촌면·신종면이 신암면으로 폐합하고, 덕산군의 11개면을 4개면으로, 대흥군의 8개면을 4개면으로 통합해 예산군에 편입했다. 1917년 임성면이 예산면으로 개칭되었고, 1940년에 예산면이, 1973년 삽교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대흥현, 덕산군).
자연환경
군의 동쪽에는 차령산맥, 서쪽에는 가야산맥이 뻗어 있어 동부와 서부는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중앙부에는 낮은 구릉지와 넓은 예당평야가 펼쳐져 있다.
동부산지에는 봉수산(鳳首山 : 534m)·극정봉(極頂峰 : 424m)·도고산(道高山 : 482m)·덕봉산(德鳳山 : 473m)·장학산(長鶴山) 등 400m 이상의 산들이 연이어 있으며, 서부에는 수덕산(修德山 : 495m)·서원산(書院山 : 473m)·가야봉(伽倻峰 : 678m)·옥양봉(玉洋峰 : 621m) 등이 솟아 있다. 군의 북동부에 솟은 금오산(金烏山 : 234m)은 예산읍의 진산이다.
주요하천으로는 삽교천(揷橋川)이 효교천·대천천 등의 소하천을 합류해 고덕면·삽교읍·신암면 일대를 동북쪽으로 흐르며, 무한천이 군의 동부를 북류해 신암면 하평리 일대에서 삽교천과 합류한다. 이들 하천유역에는 기름진 예당평야가 발달했다. 군내에는 규모가 큰 예당저수지를 비롯하여 옥계저수지·용봉저수지·봉림저수지 등 저수지가 많다.
기후는 서해안의 영향으로 충청남도 내륙의 다른 지방에 비해 온난한 기후를 보이고 있다. 연평균기온 12.3℃ 내외, 1월평균기온 -2.6℃ 내외, 8월평균기온 25.5℃ 내외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175.3㎜ 정도로 도내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 한발과 홍수가 적은 편이다. 식생은 낙엽활엽수림대에 속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소나무와 각종 활엽수림 및 참나무 등의 혼효림이 대부분이다.
인구
인구는 1965년에 18만 45명의 최고인구수를 보인 이후로 꾸준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1965~75년에는 14.4%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1975~85년에는 9.2%의 감소율을 보였다. 1985~95년에도 7.9%의 감소율을 나타내고 있어 이촌향도의 경향을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다.
2024년 기준 인구는 7만 8,310명이다. 예산읍과 삽교읍에 군 전체인구의 51% 정도가 집중되어 있고, 덕산면·고덕면 순으로 인구가 많으며, 인구가 적은 지역은 대흥면·대술면 등지이다.
산업과 교통
예당평야를 중심으로 농업이 이루어지며, 농업가구가 군내 전체가구 중 34.5%를 차지한다. 총경지면적 186.9㎢ 가운데 논 127.7㎢, 밭 59.2㎢로 논이 많으며, 경지율은 34.4%이다(2006). 쌀 외에 각종 채소류와 사과·잎담배·마늘 등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삽교읍 성리에서 산출되는 삽교성리쌀은 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예산읍 창소리의 특용작물재배단지에서는 쪽파·토마토 등이 비닐하우스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재배되고 있다. 특용작물로는 삽교읍 목리에 '삽다리더덕'이라는 더덕 재배가 활발하며, 예산엽으로 알려진 질좋은 잎담배가 생산된다. 또한 삽교읍·신암면·오가면 일대에서는 사과재배가 활발한데, 기후·토양이 적합하고 서울·대전 등의 시장과 교통이 편리해 매년 그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가축사육도 활발해 고덕면 태신목장에서 젖소를 대규모로 사육하고 있으며, 그밖에 한우·젖소는 오가면·광시면·신양면·삽교읍, 돼지는 삽교읍·오가면·신암면·고덕면 등지에서 많이 사육된다. 임야는 군면적의 46.4%를 차지하며, 밤·호두·대추·도토리·은행·버섯 등의 임산물이 생산된다. 2006년 현재 49개소의 광구 가운데 27개소가 가행되고 있다. 군내 123개 공장에 4,291명의 종업원이 일하고 있다. 면사를 생산하는 충남방적(주) 등 대부분의 섬유업체가 예산읍에 집중되어 있으며, 곳곳에 도정공장이 있으나 광업과 마찬가지로 군의 경제에 큰 몫을 담당하지는 못하고 있다. 상업활동은 7개의 정기시장과 1개의 상설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정기시장은 예산읍에 2개소, 삽교읍·신양면·광시면·덕산면·고덕면에 각각 1개소씩 있는데 예산장에서는 쌀·사과·고추·채소 등이 거래된다. 최근에 상설점포와 슈퍼마켓이 들어서면서 주변지역에 생활필수품을 공급하고 있다.
1933년에 개통된 장항선이 군의 중앙부를 통과하고, 홍성-천안을 잇는 국도와 당진-공주를 잇는 국도가 예산읍을 통과하며, 서산-아산을 연결하는 국도가 군의 서부를 동서로 지나고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그밖에 청양·당진 방면 등의 지방도가 사방으로 나 있다. 도로총길이 317.8km, 도로포장률 80.4%이다(2006).
유물·유적·관광
군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7, 사적 2, 천연기념물 1, 중요민속자료 3, 중요무형문화재 1),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5, 무형문화재 1, 기념물 15), 문화재자료 31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신암면·오가면 등에 지석묘가 있으며 대흥면 석관묘에서는 수준높은 청동기유물이 발굴되었다. 산성으로는 백제부흥운동의 거점이었던 대흥면 상중리의 대흥임존성(사적 제90호), 예산읍 산성리에 예산산성, 삽교읍 상성리에 상성리산성, 봉산면에 천태산성, 고덕면 대천리에 금후산성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덕산면 사천리 수덕사에 수덕사대웅전(국보 제49호)·수덕사3층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수덕사7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1호)·수덕사여래탑이 있고, 예산읍 향천리의 향천사에는 향천사9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4호)·향천사부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9호)·향천사천불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3호)·당간지주 등이 있으며, 광시면 동산리 대련사에는 대련사원통보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7호)·대련사3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8호) 등이 있다.
그밖에 삽교읍 신리에 예산삽교석조보살입상(보물 제508호), 봉산면 화전리에 예산화전리사면석불(보물 제794호), 예산읍 예산리에 예산읍3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5호), 대술면 상항리에 상항리석불(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9호), 덕산면에 상가리미륵불(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2호)·보덕사석등(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3호), 고덕면에 석곡리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4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예산향교대성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0호)·덕산향교대성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1호)·대흥향교대성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72호) 등이 있다. 신암면 용궁리에는 김정희선생고택(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 김정희종가유물(보물 제547호), 김정희선생유물(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 김정희묘(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8호)가 있으며, 덕산면에는 매헌윤봉길의사사적지(사적 제229호), 윤봉길의사유품(보물 제568호),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묘(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87호)와 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1호), 광시면에는 최익현선생묘(충청남도 기념물 제29호)가 있다. 그밖에 남연군의 묘를 이장할 때 썼던 남은들상여(중요민속자료 제31호)가 보존되고 있으며, 신암면 용궁리에 예산의 백송(천연기념물 제106호) 등이 있다.
덕산 일대가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고, 경관이 아름다운 곳이 많아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관광 코스로는 금오산 향천사에서 낚시터로 유명한 예당저수지를 거쳐 임존성으로 이어지는 길과 예산읍의 사과과수원-수덕사-덕산온천-남연군묘에 이르는 길이 있다. 신양면 일대에 있는 신양8경은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경관으로 유명하며, 예산읍·덕산온천·수덕사 등지에는 관광호텔을 비롯해 각종 관광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교육·문화·의료·복지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대흥향교·예산향교·덕산향교와 덕잠서원·회암서원 등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은 1911년에 개교한 대흥공립보통학교를 시작으로 1912년에 예산공립보통학교·덕산공립보통학교가 설립되었다.
2018년 기준 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 26개소, 초등학교 24개소, 중학교 11개소, 고등학교 7개교, 대학교 1개교가 있다. 1965년에 개원한 예산문화원과 1975년에 개관한 186석 규모의 군립도서관, 예산공설운동장, 복지회관, 예산문예회관 등이 있어 군민들의 문화활동과 교육에 이바지하고 있다.
문화행사로는 매년 4월 29일에 실시되는 매헌 윤봉길 의사 의거 기념행사와 부대행사인 매헌문화제가 있다. 1969년부터 실시된 이 행사는 월진회의 주최로 제향행사와 문화행사로 나뉘어 펼쳐지며, 문화행사에서는 한시·서예 백일장, 글짓기 대회, 사생대회 및 각종 전시회와 보부상 및 죽방울 놀이, 농악놀이, 씨름대회, 궁도대회, 전국 고교 역전 마라톤 경주대회 등이 행해진다.
그밖에 예산능금조합 주최로 매년 10월 하순경에 능금아가씨선발대회와 사과 품평회를 갖는 예산능금축제가 있다. 이 고장의 민속놀이로는 진치기놀이·돌치기·볏가리놀이 등이 있다. 설화로는 〈수덕사연기설화〉·〈덕산온천설화〉 등이 있으며, 민요는 〈모내기노래〉·〈무당새노래〉·〈꽃노래〉 등이 있다.
2017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1개소, 병원 1개소, 의원 41개소, 치과병원 21개소, 한의원 22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28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378개소, 노인주거복지시설 2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22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10개소, 아동복지시설 1개소, 장애인복지생활시설 1개소, 보육시설 29개소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