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16, 중요민속자료 4, 천연기념물 1),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30, 기념물 8, 민속자료 3), 문화재자료 13점, 등록문화재 3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 신령면 완전리 선돌, 대창면 조곡리 고인돌, 금호읍 어은리 청동기유적지 등이 있다. 산성으로는 금강산성·치산성지·백암성지 등이 있으며, 삼국시대의 고분 33기가 밀집해 있는 영천고분군이 있다. 통일신라시대 유적으로 수리사업에 관한 자료를 담고 있는 영천청제비(보물 제517호)와 인공못인 청못이 있다.
불교문화재로 청통면의 은해사거조암영산전(국보 제14호)·은해사백흥암극락전(보물 제790호)·은해사운부암청동보살좌상(보물 제514호), 자양면의 거동사대웅전(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금호읍 영천신월동3층석탑(보물 제465호), 신령면 영천화남동3층석탑(보물 제675호) 등이 있다. 불상으로는 임고면의 영천선원리철불좌상(보물 제513호), 신령면의 영천화남동석불좌상(보물 제676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성내동의 숭렬당(보물 제521호), 공자의 위패를 모신 교촌동의 영천향교대성전(보물 제616호), 신령면의 신령향교대성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2호), 자양면의 생육신 이경은선생부조묘(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호) 및 제단(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4호), 임고면의 임고서원(경상북도 기념물 제54호)과 대창면의 도잠서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0호), 오미동의 석현서원, 과전동의 창대서원 등이 있다.
건축물로는 임고면의 동린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7호), 영천정재영씨가옥 및 산수정(중요민속자료 제24호), 영천정용준씨가옥(중요민속자료 제107호) 등이 있으며, 자양면의 강호정(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오회공종택·삼휴당(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5호), 금호읍의 영천만취당(중요민속자료 제175호), 야사동의 귀래정, 대전동의 양계정사, 녹전동의 오인정·북계영당, 창구동의 영천조양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4호), 대전동의 호수종택(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0호) 등이 있으며, 조양각에는 포은의 청계석벽시와 70여 점의 명현달사 유운이 보존되어 있다.
그밖의 유물로는 조선 숙종 때의 학자인 이형상(李衡祥)의 저서인 <병와유고(甁窩遺稿)>(보물 제652호)와 병와이형상유품(중요민속자료 제119호), 안증이 후학을 가르치던 완구정(경상북도 민속자료 제20호), 신령면의 권응수장군유물(보물 제668호), 북안면의 박노계집판목(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8호) 등이 있으며, 대전동에는 이보흠유허비가 있다.
팔공산도립공원을 비롯하여 산세가 수려한 산들이 시를 둘러싸고 있고, 금호강이 시의 중앙을 흐르고 있어 관광명소가 많다. 팔공산도립공원내에는 은해사·운부암·백홍암·갓바위·안흥폭포 등이 있으며, 그밖에도 신령면의 수도사폭포, 위장병과 고혈압에 좋다는 고경면의 황수탕, 자양면의 영천댐 등의 명소가 있다. 중심시가지에는 창구공원과 완산공원이 있으며, 교촌동 마현산의 마현공원에는 6·25전쟁 전적비와 충혼탑, 2km의 산정로가 있다.
이외에도, 보현산 정상에는 1996년 준공된 보현산천문대가 있다. 국내에서 가장 큰 1.8m 광학망원경과 1.8m 망원경용 에셀 분광기(고분산 분광기인 BOES와 중분산 분광기인 긴슬릿 분광기가 결합된 형태), 4K CCD 카메라, 지상망원경용 근적외선카메라 시스템(KASINICS), 태양플레어망원경 등의 천체 관측 시설을 보유한 한국천문연구원 산하의 연구기관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영천시의 유물·유적·관광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