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영역정제의 응용

다른 표기 언어

물리적 분리법에서와 같이 영역정제법의 유용성은 두 상(相) 사이에서 한 성분의 농도차에 따라 좌우된다. 증류할 때에 끓는점의 차가 그리 크지 않다면 증류기를 더 길게 만드는 것처럼, 영역정제에서 분배계수가 1에 가깝다면 영역의 길이에 대한 주괴길이의 비를 더욱 크게 한다.

영역정제는 수백 가지 물질들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정제법으로 이용되어왔지만 비교적 그 정제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보통 응고속도는 유기물질의 경우 0.1~2.0cm/h이고, 무기물질의 경우는 0.5~30cm/h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다는 점과, 용기에 의한 오염이나 보통 결정화에서 사용되는 용매 등의 시약들에 의한 오염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상업적으로 영역정제는 반도체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방법의 실험적 응용은 다양하지만 특히 순도가 높은 물질을 제한된 양으로 생산할 때 유용하다. 하루에 t단위로 금속을 대량 정제하는 것은 높은 열전도도(熱傳導度)로 인한 열손실이 많아 별로 실용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유기화합물들은 열전도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t단위의 영역정제도 현실성이 있다.

영역녹임은 주로 액체-고체 사이의 전이(轉移)로 일어나지만 기체-고체 전이, 고체-고체 전이를 통한 영역정제도 시행되었다. 기체-고체 전이는 기체가 만들어짐에 따른 많은 부피변화(장입물이 용기관을 따라 이동해야 함) 때문에 실제로는 제한받고 있으며, 고체-고체 전이는 고체 내에서 확산속도가 느리다는 사실 때문에 제한받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산업

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영역정제의 응용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