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연금기금

다른 표기 언어 pension fund , 年金基金 동의어 연기금

요약 연금과 기금을 합쳐서 부르는 말로, 공적 연금, 기업연금, 개인연금 등으로 축적된 자금과 국가가 조성한 기금을 말한다. 연금기금의 금액이 작지 않기 때문에, 연금기금의 운용은 금융정책과 투자시장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연금기금은 '연기금'이라고도 부른다. 근로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을 내고 은퇴 이후에 일정한 급여를 지급받는 제도를 연금이라고 하고, 국가가 특별한 목적으로 조성한 자금을 기금이라고 한다. 세계적으로는 일본 공적연금, 노르웨이 글로벌연금펀드, 네덜란드 공적연금 등이 대표적인 연금기금으로 알려져 있다.

연금기금은 그 운용주체에 따라 공적 연금, 기업연금, 개인연금 등으로 구분한다. 한국의 주요 연금기금으로는 국민연금기금, 사학연금기금, 퇴직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국민주택기금 등이 있다. 이들 연금기금의 적립총액은 2015년을 기준으로 450조 원을 넘어섰다.

대부분의 연금기금들은 기금운용본부나 기금운용위원회를 별도로 두어 연금기금의 투자 방향과 투지 비율 등을 결정하고 있다. 연금기금은 사회간접자본 투자나 부동산 투자, 벤처 기업 투자 등과 함께 우량기업의 채권 및 주식 투자를 통해 연금기금의 실질가치를 유지하고 장기적인 연금재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저금리 정책이 장기화 되면서 연금기금의 주식 시장에의 투자가 지속적으로 늘어가고 있고, 이에 따라 연금기금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연금기금은 수익을 최대한 많이 올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적인 투자 자본과는 달리 이익 실현과 함께 사회적으로 해악을 끼치는 기업에 대해서는 투자를 하지 않는 사회책임투자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연금기금이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경영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요구를 해야 한다는 입장과 기업의 자유로운 경영을 방해할 수 있다는 입장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연금기금은 한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대비 2003년 2.3%에서 2007년 3.1%, 2011년 5.4%로 증가해 왔으며 2015년에는 90조원으로 6.8%에 이르렀다. 2016년 국민연금연구원 발표에 의하면 2025년에는 9%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금융

금융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연금기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