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여주하리삼층석탑

다른 표기 언어 驪州下里三層石塔

요약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창리에 있는 고려 초기의 3층석탑.

보물 제92호. 높이 370㎝. 1957년 하리의 옛 절터에 있던 것을 한강변에 있는 영월루(迎月樓) 아래의 공원으로 옮겨 세운 것으로서 지금은 여주창리3층석탑과 나란히 있다. 이 탑은 신라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여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얹은 방형탑 형식을 하고 있다.

여주하리3층석탑

여주하리3층석탑(고려), 보물 제92호, 경기 여주시 상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층기단 갑석의 윗면에는 경사가 현저하며 중앙에는 상층기단을 받기 위한 호형과 각형의 2단 굄이 있다. 상층기단은 4매의 돌로 구성되었는데 두 면에 모각된 우주가 다른 두 면의 측면에까지 연결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평판석을 삽입했다. 갑석 밑에는 형식적인 부연이 있고, 윗면에는 높직한 2단 굄이 조각되어 있다. 탑신부의 옥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각 층의 옥신에는 우주가 얕게 모각되어 있다. 옥개석의 층급받침은 모두 4단이며 윗면에는 옥신을 받기 위한 굄이 있고, 추녀 끝은 약간 반전되어 있다.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탑을 옮길 때 특이한 사리공이 발견되었는데, 일반 석탑의 사리공과는 달리 1층 옥신 윗면의 얕은 층단(18.8×21.2㎝) 위에 돌기(10.6×13.6×3㎝)가 있고, 그 위에 지름이 각각 3㎝, 1.5㎝인 둥근 구멍이 2개 있다. 그리고 이 위에 얹히는 옥개석의 아랫면에 홈(25.8×25.8×12㎝)이 파여 있어 사리공 돌기부를 덮도록 되어 있다. 내용물이 발견되지 않아 둥근 구멍의 용도에 대해 알 수 없지만 특이한 예로서 주목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기도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여주하리삼층석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