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LG 그룹

다른 표기 언어 LG Group
요약 테이블
설립 1947년 1월 5일
국가 대한민국
설립자 구인회
기업형태 기업집단
업종 전자, 화학, 통신, 서비스
취급품목 가전제품, 스마트폰, 웨어러블, 전지재료, 유무선통신, IT컨버전스, 생활용품 등
사이트 http://www.lg.co.kr
본사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여의도동)

요약 주요 사업분야는 화학, 전자, 통신·서비스 분야 등이며, 창업자는 구인회이다. 1947년 락희화학공업(주)으로 시작해 1974년 (주)럭키로 상호를 변경했다. 기초화장품과 칫솔, 치약과 같은 생활용품의 제조에서 출발해 전자제품과 석유화학 등에 이르는 기업 집단으로 발전했다. 1995년 그룹 이름을 LG로 바꾸었으며, 2005년 창업자 간의 동업관계가 청산되면서 LG-Caltex 정유, LG건설, LG유통, LG 스포츠, LG홈쇼핑 등이 (주)GS홀딩스로 법적 분리되었다.

LG그룹 로고

ⓒ LG그룹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사

화학, 전자, 통신·서비스 분야 등을 주력 사업 분야로 하는 한국의 기업 집단. 창업자 구인회가 설립한 포목상 구인회상점이 전신으로, 운수업과 무역업으로 업종을 확장하면서 주식회사 구인상회로 발전했다. 이 회사를 바탕으로 설립된 락희화학공업사가 LG그룹의 모체이다. 락희화학공업사는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인 럭키크림을 제조 판매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락희화학공업사는 이후 한국 최초의 합성수지 사출기를 도입, 제품을 생산하면서 화학공업 분야의 토대를 마련하고, 머리빗·비누갑·칫솔·식기 등 생활용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어서 한국 최초로 개발해 판매하기 시작한 튜브 타입의 럭키치약이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군납에 성공하면서 위생용품 시장의 점유율을 높였다. 한편 창업자 구인회는 전후 혼란기를 겪으면서 전자제품의 필요성에 착안하여 금성사를 설립했다. 금성사에서는 1959년 한국 최초로 생산한 진공관 라디오에 이어, 이듬해 트랜지스터 라디오와 선풍기를 생산하면서 가전제품 시장의 국산화 시대를 열었다. 한편, 미국 칼텍스석유사와 합작으로 호남정유가 설립되었다.

화학공업을 기반으로 성장한 락희화학은 1974년 상호를 (주)럭키로 변경했는데, 전자제품 중심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는 (주)금성사, 석유정제 및 화학공업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호남정유가 1970년대까지 LG그룹의 중심 기업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1979년 '럭키그룹'의 심벌마크가 제정되었다. 1983년에는 명칭을 럭키금성그룹으로 변경했다. 이 명칭은 1995년에 이르러 'LG'로 변경했고, 이때까지 여러 자회사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던 명칭들을 모두 'LG'로 통일했다.

1996년에는 LG텔레콤을 설립하여 통신업계에도 진출했으며 1999년에는 LG필립스LCD를 설립하여 디지털 디바이스 시대에 대응하기 시작했다. 한편 창업자인 구인회와 그의 사돈이었던 허만정 사이에서 시작되어 이어져 온 LG 그룹은 2005년 1월 동업관계가 청산되면서 LG-Caltex 정유, LG건설, LG유통, LG 스포츠, LG홈쇼핑 등이 (주)GS홀딩스로 법적 분리되었다. 2006년 LG. Philips LCD가 세계 최대 크기인 100인치 LCD를 개발했다. 2007년 LG. Philips LCD가 세계 최초로 컬러 플렉서블 전자종이를 개발했고, 2008년 LG텔레콤이 3G 데이터서비스 'OZ'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2009년 LG화학이 GM의 세계 최초 전기차에 배터리를 독점 공급했다.

2010년 LG전자가 국내 최초로 3D TV를 해외로 수출했다. 2011년 LG화학이 오창 전기차용 배터리공장을 준공했고, 2012년 LG하우시스가 국내 최대 규모의 로이(Low-E) 유리공장을 준공했다. 2013년 LG CNS가 국내 최대 규모인 'LG CNS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개관했다. 2014년 LG유플러스가 광대역 LTE-A 전국망 서비스를 개시했고, 2015년 LG전자가 트롬 트윈워시를 출시했다. 2016년 LG전자가 초프리미엄 가전인 'LG시그니처'를 국내에 출시했다. 2017년 LG화학이 LG생명과학과 합병했고, 2018년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88인치 8K OLED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2019년 LG전자가 미국 테네시주에 세탁기 공장을 준공했다. 2020년 LG전자가 원바디 세탁건조기 'LG 트롬 워시타워'를 출시했다. 2021년 LG전자가 신개념 식물생활가전인 'LG 틔운(LG tiiun)'을 출시했다. 2022년 LG전자가 업그레이드를 통해 진화하는 'LG UP 가전'을 출시했다. 2023년 3월 LG전자가 차세대 신발관리 솔루션 'LG 스타일러 슈케이스·슈케어'를 출시했다.

연혁

창업기

1947년 락희화학공업사설립
1947년 회사 최초의 생산 제품인 화장품 생산
1952년 한국 최초로 플라스틱 생산
1953년 락희산업(현 LG상사) 설립
1954년 8월 대한민국 최초의 연고 치약인 '럭키 치약' 개발(대한민국 최초 합성수지 성형제품 생산개시).
1956년 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 대한민국최초 PVC 파이프 생산.
1958년 금성사(현 LG전자) 설립
1962년 금성사(현 LG전자), 대한민국최초로 서독 후어마이스터사와 <적산전력계의 시설 도입을 위한 500만 마르크 무보증 차관도입 계약> 체결.
1962년 락희(樂喜)비니루공업 설립
1964년 대한민국 최초 자동전화교환기 생산 개시.
1966년 대한민국 최초 흑백텔레비전 생산 개시
1967년 호남정유(현 GS칼텍스) 설립
1968년 한국콘티넨탈카본 설립
1969년 금성사(현 LG전자), 대한민국 최초로 펌프 개발 생산.
1969년 금성사(현 LG전자), 대한민국최초 가스레인지 개발
1969년 호남정유(현 GS칼텍스) 여수공장 준공
1969년 금성(金星)통신 (현 LG전자) 설립
1969년 락희개발 (현 GS건설) 설립
1969년 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 민간기업 최초로 기업공개
1969년 LG그룹 창업주 연암 구인회 회장 별세

확장기

1970년 제2대 구자경 회장 취임
1970년 세방석유 설립
1970년 금성사(현 LG전자) 전자업계 최초로 기업공개
1974년 주식회사 럭키로 상호 변경(럭키그룹으로 호칭)
1974년 반도패션(현 LF), 의류업에 진출
1974년 금성계전 (현 LS산전) 설립
1976년 반도상사(현 LG상사), <1억불 수출의 탑> 및 <동탑산업훈장>수훈.
1977년 금성사(현 LG전자), 대한민국 최초로 전자식 금전등록기 생산.
1979년 금성반도체(구 LG반도체, 1999년 현대전자에 매각) 설립
1981년 연암공업전문대학(현 연암공업대학) 설립.
1981년 금성사(현 LG전자), 칼라 VTR를 생산.
1981년 호남정유(현 GS칼텍스), 제1원유부두를 준공.
1981년 서울 여의도 신사옥 <트윈타워> 기공식
1983년 그룹 명칭을 럭키금성그룹으로 변경.
1983년 럭키(현 LG화학), 대한민국 최초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개발.
1983년 한국마이크로닉스(현 LG마이크론) 설립.
1983년 럭키금성 황소 축구단(현 FC 서울) 창단.
1986년 럭키경제연구소(현 LG경제연구소) 설립
1987년 STM(현 LG CNS) 설립
1987년 금성히타치시스템(현 LG히타치) 설립
1989년 금성일렉트론(1999년 현대전자에 매각) 설립
1990년 럭키금성 프로야구단 LG 트윈스 창단
1994년 LG백화점(현 롯데백화점) 설립
1994년 한국홈쇼핑(현 GS홈쇼핑) 설립

변혁기

1995년 LG그룹으로 명칭 변경, 로고 제작
1995년 미국 최대 전자기업인 제니스 일렉트로닉스 인수
1996년 LG텔레콤(현 LG유플러스) 설립
1996년 LG마트(현 롯데마트) 1호점(고양점) 개점
1996년 LG에너지 설립
1997년 창원 LG 세이커스 프로농구단 창단
1999년 LG화재, LG그룹으로부터 계열 분리 인가
2000년 데이콤 계열 편입
2001년 국내 재계서열 상위 20위권에서 상위 5위권으로 오름
2002년 파워콤(현 LG유플러스) 계열편입
2003년 LG그룹에서 전선과 금속 부문이 LS그룹으로 분리
2003년 LG그룹,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2003년 LG필립스LCD(현 LG디스플레이), 세계 1위로 선정.
2004년 LG카드, LG그룹으로부터 계열 분리 인가
2004년 LG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계열분리
2004년 LG에 분할 GS홀딩스 출범

분리기

2005년 GS칼텍스(LG칼텍스정유), GS홈쇼핑(LG홈쇼핑), GS건설(LG건설), GS리테일(LG유통) 등 15개 계열사로 새로 GS그룹을 만들어 LG그룹에서 분리.
LS전선(LG전선), LS산전(LG산전), LS-Nikko 동제련(LG-Nikko 동제련), E1(LG칼텍스가스) 등 8개 계열사로 새로 LS그룹을 만들어 LG그룹에서 분리.
2005년 GS 허창수 회장, LS 구자홍 회장 취임.
2005년 LG전자, 세계 최초 DMB노트북 출시.
2005년 LG생명과학, 젖소 유방염 백신 개발.
2005년 LG전자, 노텔과 통신장비 합작법인 설립.
2005년 LG필립스 LCD, 경기도 파주에 `LG로` 개통.
2005년 LG전자, 세계 최초 WCDMA 지상파 DMB폰 개발 LG전자, 세계 최대 15 kg 스팀 트롬 출시.
2005년 LG전자, 싸이언 위성 DMB폰 출시.
2009년 HS애드등 20여 계열사등 자회사를 편입.
2010년 LG데이콤, LG파워콤 LG텔레콤은 통합LG텔레콤으로 합병.
2010년 7월 1일 통합LG텔레콤이 LG U+로 사명 변경.
2015년 국내 기업 재계 6위 (공기업 포함)
2016년 LG전자, 초프리미엄 가전 ‘LG시그니처’ 국내 출시
2017년 LG화학, LG생명과학 합병
2018년 LG디스플레이, 세계 최초 88인치 8K OLED 디스플레이 개발
2019년 LG전자, 미국 테네시주 세탁기 공장 준공
2020년 LG전자, 원바디 세탁건조기 'LG 트롬 워시타워' 출시
2021년 LG AI연구원, 초거대 AI ‘EXAONE(Expert AI for everyone, 엑사원)’ 공개
2022년 LG AI연구원, 세계 최초 초거대 AI기반 아티스트 '틸다(Tilda)' 공개
2023년 LG전자, 세계 최초 무선 올레드 TV 출시

사업 영역과 현황

그룹 계열회사로는 전자 관련 계열사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하이프라자, LG실트론, 루셈, 실리콘웍스가 있고, 화학 관련 사업체인 , LG화학, LG생활건강, LG하우시스, LG생명과학, LG MMA, 통신 및 서비스 계열사로는 LG U+, 미디어로그, LG CNS, LG엔시스, 서브원, LG경영개발원, LG스포츠, LG솔라에너지, 지투알, HS Ad, LBEST, LG상사가 있다. 그밖에 공익법인으로 LG 연암문화재단·LG복지재단·LG상록재단·LG연암학원 등이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에 소재한다. 2022년 12월 기준 197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2022년 연간 매출액은 7조 1,859억 원, 영업이익은 1조 9,413억 원, 당기순이익은 2조 1,157억 원, 자산총액은 29조 6,336억 원, 자본금은 8,016억 원이다.

LG상사(주) 본사

LG상사(주) 본사가 위치한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 전경

ⓒ lgicorp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

・ 최종 업데이트 2024.03.18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기업

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LG 그룹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