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 |
---|---|
사망 | 미상 |
국적 | 성서 |
요약
엘리야의 제자로 그를 계승했다(851경). 예후가 오므리 가문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키도록 부추겼고 또 그 반란을 주도했다. 이 사건은 이즈르엘의 대학살로 기록되었다. 일반적인 전승은 엘리사를 엘리야와 매우 비슷하게 카리스마를 지녔고, 거의 황홀경에 빠진 인물로 묘사한다.
스승처럼 엘리사도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 문화 전승에서 정열적인 인물의 전형이었다. 이 두 사람은 모두 가나안에서 진행되던 문화의 변천과 오므리 왕조가 페니키아와 동맹을 맺는 것에 대해 위협을 느꼈다. 에언자로서 엘리사는 정치적 활동가였으며 혁명적이었다. 그는 사마리아에서뿐 아니라 예루살렘에서도 오므리 가문을 소멸시킨 '성전'을 이끌었다. 그 피의 학살은 1세기 후 예언자 호세아에게 비난을 받았다.
엘리야의 제자로 그를 계승했다(851경). 예후가 오므리 가문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키도록 부추겼고 또 그 반란을 주도했다. 이 사건은 이즈르엘의 대학살로 기록되었다.
일반적인 전승(Ⅱ 열왕 2~13)은 엘리사를 엘리야와 매우 비슷하게 카리스마를 지녔고, 거의 황홀경에 빠진 인물로 묘사한다. 스승처럼 엘리사도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문화 전승에서 정열적인 인물의 전형이었다. 이 두 사람은 모두 가나안에서 진행되던 문화의 변천과 오므리 왕조가 페니키아와 동맹을 맺는 것에 대해 위협을 느꼈다. 에언자로서 엘리사는 정치적 활동가였으며 혁명적이었다. 그는 사마리아에서뿐 아니라 예루살렘에서도 오므리 가문을 소멸시킨 '성전'을 이끌었다(Ⅱ 열왕 9~10). 그 피의 학살은 1세기 후 예언자 호세아에게 비난을 받았다(호세 1:4~).
엘리사가 예후를 불러들였을지라도 그에게 기름을 붓도록 야훼의 명령을 받은 사람은 엘리야였다(Ⅰ 열왕 19:16). 이것이 그들 관계의 특징이었고, 일반적으로 평가하면 엘리사는 항상 부분적으로는 그의 스승의 그늘에 가려 있었다. 엘리사가 엘리야의 제자가 되는 이야기(Ⅰ 열왕 19:19~21)와 그의 상속자 겸 계승자가 되는 이야기(Ⅱ 열왕 2:8~18)에는 둘 다 예언자의 '겉옷'이 중요하게 등장한다. 전자에서 엘리야는 그 겉옷을 제자에게 걸쳐주고, 후자에서는 엘리사가 그것을 집어든다. 예언자의 의식용 옷인 그 겉옷은 힘과 권위를 함축하는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