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에파나고가

다른 표기 언어 Epanagoga

요약 동로마 제국의 황제 바실리우스 1세 재위기간중 편찬된 법전(879경).

이는 그리스어로 공포된 방대한 법전들에 대한 입문서로 편찬되었으며, 교회와 국가의 권력분립이론을 제시했다는 점이 특히 중요하다.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오 3세(717~741 재위) 때에 편찬된 에클로가(Ecloga)와 유스티니아누스 1세(527~565 재위)의 법서들에 기초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에파나고가는 황제·총대주교 및 그밖의 속계와 교계의 고위 인사들의 권리와 의무를 취급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단연 독창적이다.

국가와 교회는 황제와 총대주교에 의하여 관장되는 단일체로 이해되었으며, 황제는 신민의 물질적 행복을 촉진하고 총대주교는 그들의 정신적 행복을 조장하면서, 황제·총대주교는 인류의 이익을 위해 맡은 바 임무를 조화롭게 수행해야 하는 것이었다. 당시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이자 그리스 정교회의 자치적 전통의 옹호자였던 포티우스가 이 이론의 창시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에파나고가는 레오 6세(886~912 재위) 때에 편찬된 바실리카(Basilica:유스티아누스 법전에서 많은 규정을 채용하여 요약·수정한 60권의 대법전)의 기초가 되었다. 러시아의 행정법전인 러시아 규칙집(Russian Book of Rules)을 비롯한 슬라브 법전들에서도 에파나고가로부터 발췌한 부분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에파나고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