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이탈리아의 비(非)인도유럽어 민족에 속하는 에트루리아인이 BC 8세기경에 그리스 문자(그중에서도 아마 칼키스 형태)를 바탕으로 만든 표기체계.
에트루리아 문자는 1만 개가 넘는 비문을 통해 현대 학자들에게 알려졌다. 이 문자는 근동지방의 문자나 초기 그리스 문자형태와 마찬가지로 대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썼지만, 때로는 '좌우 교대 서식'(행이 바뀔 때마다 쓰는 방향을 바꾸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 행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 행이 교대로 나오는 방식)도 나타난다.
세월이 흐르면서 이 문자의 형태와 구조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BC 400년경에 에트루리아 문자는 최종적인 형태('고전형')에 도달했다. 이때의 자모는 초기의 26개 자모(BC 700경)나 23개 자모(BC 5세기)보다 줄어든 20개, 즉 4개의 모음(a, e, i, u)과 16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졌다. 이 문자는 적어도 AD 1세기까지는 계속 고전형으로 씌어졌고, 에트루리아어는 그후에도 수백 년 동안 사용되었다.
에트루리아 표기체계는 라틴 문자를 비롯하여 다른 이탈리아 문자들을 파생시켰고, 결국 라틴 문자가 에트루리아 문자 대신 쓰이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