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19. 3. 19,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근처 브레데도르프 |
---|---|
국적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요약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흑인 산문작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많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초기 소설 〈광산 소년 Mine Boy〉(1946)은 인종차별주의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흑인들에게 미친 비인간적인 영향을 강조한 최초의 작품이다.
20세에 고국을 떠나 처음에는 영국에, 나중에는 자메이카에 정착했다.
그러나 그의 대부분의 장편 및 단편 소설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보낸 어린시절의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광산 소년〉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큰 산업도시의 낯설고 억압적인 문화와 외국인들 속에 내던져진 한 시골 청년에 대한 이야기이며, 그의 반자전적 소설 〈자유를 말하라 : 아프리카의 기억들 Tell Freedom : Memories of Africa〉(1954, 신판 1970)도 이와 연관된 주제로서 요하네스버그의 빈민가에 살았던 자신의 젊은시절의 투쟁과 갈등을 다루고 있다. 〈천둥의 길 The Path of Thunder〉(1948, 30개 국어로 번역됨)은 피부색이 다른 1쌍의 젊은 남녀가 인종분리를 강제하는 위협적인 상황 속에서 서로 사랑하게 되는 이야기이다. 〈무모한 정복 Wild Conquest〉(1950)은 북쪽을 향한 보어인들의 대장정 행로를 더듬어간 작품이며, 〈그들만의 밤 A Night of Their Own〉(1965)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토착민들의 역경을 다룬 작품이다. 장편소설 〈우도모의 화관 A Wreath for Udomo〉(1956, 신판 1971)과 여행기 〈지금 이 섬 This Island Now〉(1966, 신판 1971)의 배경은 각각 서부 아프리카와 카리브 해이다. 1950년대 후반 영국령 서인도제도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서를 쓰기 위해 자료수집차 자메이카를 방문했다가 그곳에 감명을 받아 가족들과 함께 그 섬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그는 〈서인도제도 경제지 West Indian Economist〉의 편집자가 되었고, 라디오 일일 뉴스 방송인 웨스트 인디언 뉴스를 맡았지만, 1964년 집필에 전념하기 위해 대부분의 직무를 포기했다. 초기에 쓴 많은 작품들은 독서 인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1960년대와 1970년대초에 재출판되거나 다른 언어들로 번역되었다. 마이클 웨이드가 쓴 전기 〈피터 에이브러햄스 Peter Abrahams〉는 1972년에 출판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