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에스드라엘론 평원

다른 표기 언어 Plain of Esdraelon

요약 이스라엘 북부에 있는 저지대.
(히). ⁽Emeq Yizre⁽el/Ha-⁽Emeq('계곡'이라는 뜻). Valley of Jezreel이라고도 함.

구릉이 많은 북쪽의 갈릴리와 남쪽의 사마리아(요르단 영토이나 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음)로 나누어진다. 에스드라엘론이란 이름은 이 지역이 비옥하다는 것을 뜻하는 히브리어 이즈레엘('신이 씨를 뿌릴 것이다' 또는 '신이여 열매를 많이 맺게 하소서'라는 뜻)에 해당하는 그리스어이다. 이 평원은 북서쪽에 꼭지점을 두고, 남동방향으로 대략 3각형을 이루며 뻗어 있다.

에스드라엘론 평원(Plain of Esdraelon)

ⓒ pokku/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북동쪽에 하(下)갈릴리의 구릉지대, 남동쪽에 베트셰안 계곡의 하류 쪽 입구, 남쪽과 서쪽에는 사마리아 구릉지대와 카르멜 산이 각각 있다. 3각형의 꼭지점에서 길보아 산맥 및 베트셰안 계곡까지 평원의 길이는 약 40㎞이다. 이 평원은 대대적인 단층변위를 일으킨 지괴운동과 그에 뒤이은 침강의 결과로 생겼으며, 그러한 지각변동 이전의 산맥 중에 카르멜 산과 외따로 떨어진 타보르 산이 남아 있다.

역사적으로 이 평원은 이집트와 '비옥한 초승달지대'(비교적 기름진 반원형의 땅으로서 북쪽으로 시리아 사막 부근까지, 남쪽으로는 페르시아 만으로 흘러들어가는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까지 펼쳐져 있음) 사이의 저지 통로인 고대 비아마리스로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아득한 옛날부터 교역이 활발했으며, 전투가 빈번히 일어나기도 했다. 북서쪽에는 BC 4000~3000년에 건설된 고대 도시 메기도의 터이자, BC 1500~AD 1918년 동안 여러 전투가 벌어졌던 장소가 있다. 〈구약성서〉에 의하면 이 지역에 가나안인들이 살고 있었으며(여호 17 : 16), 후에 기드온의 군대가 미디안인들과 아말렉인들을 이곳에서 물리쳤다(판관 6~7)고 한다.

또한 이 평원을 굽어보는 길보아 산에서 사울과 요나단이 전투 끝에 죽었다(Ⅰ 사무 31, Ⅱ 사무 1)는 말도 전한다.

이 지역은 배수상태가 나쁜데다가 방치되어 있어 수세기 동안 인구가 희박한 늪지로 남아 있었다. 이슬람 군주들이 팔레스타인을 정복한 뒤 1517년 이곳을 투르크 왕실 소유지로 선포했지만, 20세기초에 많은 부분이 아랍의 부재지주들에게 넘어갔다. 1911년 메르하비아에 유대인들이 처음 정착한 후, 1920년 영국이 이 땅에 대한 제한조치를 없애면서 유대인들은 개간 및 거주지용으로 많은 부분을 사들였다.

1921년 팔레스타인 최초의 소(小)자작농 협동조합(모샤브)인 나할랄과 최초의 대규모 키부츠인 엔하로드가 건설되었다. 그뒤 늪에 배수로가 만들어지고, 집약농업과 경공업을 겸한 수십 개의 정착촌이 생겼다. 중심도시는 아풀라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중동

중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에스드라엘론 평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