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에베르

다른 표기 언어 Jacques-René Hébert 동의어 자크 르네 에베르, 페르 뒤셴, Père Duchesne
요약 테이블
출생 1757. 11. 15, 프랑스 알랑송
사망 1794. 3. 24, 파리
국적 프랑스

요약 프랑스 혁명기의 정치 언론가.
필명은 Père Duchesne.

에베르(Jacques-René Hébert)

ⓒ William C. Minor/wikipedia | Public Domain

파리의 하층민 상퀼로트의 주요한 대변인이다.

그의 추종자들은 에베르파라고 불렸다. 부르주아 가정에서 태어나 1780년 파리에 정착한 후 10년 동안 가난하게 살았다. 1789년의 프랑스 혁명을 열광적으로 환영했으며, 1790년 르 페르 뒤셴(인기 희극인)이라는 필명을 쓰면서 저널리스트로 활동을 시작해 신랄하고 불경스러운 일련의 정치풍자문을 썼다. 1790년 11월 그가 발행한 신문 〈페르 뒤셴 Le Père Duchesne〉이 첫선을 보였다.

처음에는 주로 귀족과 성직자 계층에 적개심을 보였으나, 1792년 봄에는 국왕 루이 16세에 대항하여 맹렬한 선전활동을 시작했다.

코르들리에 클럽(인간과 시민의 권리 친우회)의 영향력있는 회원이 되었으며, 혁명 코뮌의 대의원으로서 1792년 8월 10일 입헌군주제를 무너뜨린 시민 봉기 계획을 도왔다. 그해 가을 에베르파는 노트르담 대성당을 '이성(理性)의 사원'으로 바꾸었으며, 2,000여 개의 다른 교회를 '이성교'로 개종시켰다.

또한 그해 12월 그는 파리를 통치하는 코뮌의 부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그무렵 자코뱅 클럽에 가입했다. 자코뱅당의 의원들은 1792년 9월 소집된 국민공회에서 온건파인 지롱드당에 반대해 격렬한 투쟁을 벌였다. 1793년 5월 24일 지롱드당의 12인 위원회가 에베르를 폭동 선동혐의로 체포했으나, 상퀼로트들이 국민공회에 압력을 넣어 4일 후에 석방하도록 했다.

이제 그는 6월 2일 지롱드당 주요의원들을 국민공회에서 축출하도록 압력을 넣은 상퀼로트 군중들의 지도자가 되었다(파리 코뮌).

에베르파는 식량 부족으로 인한 대중의 동요를 이용해 파리 노동자들의 대규모 시위(9. 4~5)를 조직하여, 국민공회로 하여금 국가가 경제를 통제하는 한편 매점상인(買占商人)들 및 전쟁을 이용한 부당이득자들에 대해 공포정치를 펴게 했다. 상퀼로트 '혁명군'이 결성되었으며, 이때부터 노동자들이 돈을 받고 대중집회에 참석하게 되었다.

아울러 로마 가톨릭 제도를 파괴하려는 비그리스도교 운동이 에베르에 의해 더욱 크게 고무되었다. 곧이어 그는 가난한 사람들을 궁지에서 구해내지 못한다고 국민 공회의 집행기구인 공안위원회를 탄핵했다. 조르주 당통이 이끄는 자코뱅 우파가 에베르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고, 공안위원회의 최고대변인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도 두 분파를 상대로 싸움을 벌였다.

1794년 2~3월에 공안위원회는 반혁명 용의자들에게서 몰수한 재산을 가난한 시민들에게 나누어준다는 법률(시행되지 않음)을 통과시켜 에베르파의 지지를 사려고 했다. 에베르는 이러한 조치가 자신의 영향력을 약화시킨다는 것을 깨닫고 코르들리에 클럽을 통해 민중봉기(1794. 3. 4)를 촉구했다.

그러나 상퀼로트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공안위원회는 3월 14일 에베르를 체포했다. 10일 후 에베르와 17명의 추종자들은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그를 처형함으로써 정부는 상퀼로트의 지지를 잃었으며 결국 1794년 7월 자코뱅 독재체제의 붕괴를 맞이하기에 이르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에베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