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미국 텔레비전 방송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둔 작품과 사람에게 해마다 주는 상. '에미'라는 이름은 텔레비전에서 사용되는 촬상관인 이미지 오시콘의 애칭 'Immy'에서 비롯되었다. 공을 높이 쳐든 날개 달린 여인상이 상으로 주어진다. 1949년 전국텔레비전예술과학 아카데미에서 주관하여 첫 시상식이 열렸으며, 분야별로 주관하는 단체가 달라 시기를 나누어 시상식이 개최된다.
정의
미국 방송계에서 가장 권위있다고 알려진 상. 방송계의 '오스카상'이라고 불린다. '에미'라는 이름은 텔레비전에서 사용되는 촬상관인 이미지 오시콘의 애칭 'Immy'에서 비롯되었다. 공을 높이 쳐든 날개 달린 여인상이 상으로 주어진다. 에미상은 전국텔레비전 예술과학아카데미(NATAS, National Academy of Television Arts and Sciences)에서 주관하여 처음 시상된 이래, 분야별로 각각 다른 주관사가 주최하고 있다.
역사
NATAS는 1946년에 결성되었으며, 1949년 제1회 에미상 시상식을 가졌는데 6개의 상이 주어졌다. 당시에는 텔레비전 방송망이 완전히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자연히 상은 아주 지역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듬해에는 11개의 상이 주어졌고, 30년 후에는 황금시간대 부문에만도 29개의 상이 주어졌다. 그밖에 특별공로·창작예술·기술 부문에도 상이 주어졌다.
분야
프라임타임
미국에서 가장 골든 타임에 방영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선정한다. 시상식은 9월 중순에 개최된다. 코미디 시리즈, 드라마 시리즈, 앤솔로지 시리즈, 텔레비전 영화, 버라이어티 시리즈, 버라이어티 토크 시리즈 등의 작품상, 각 분야의 연출상과 각본상, 남여주연상과 조연상이 시상된다.
이와 함께 프라임타임 창작예술상이 작품상, 연기상, 애니메이션상, 캐스팅상, 조명상, 타이틀디자인상, 분장상, 음악상, 편집상, 제작상, 음향상, 음향편집상, 촬영상, 의상상, 연출상, 헤어스타일상, 호스트상, 시각효과상, 스턴트상, 기술상, 각본상 등의 분야에 나누어 시상된다.
데이타임
미국의 낮시간에 방영된 프로그램 가운데 선정하는 상으로, 5~6월에 시상된다. NATAS 회원들의 투표에 의해 선정된다. 드라마, 게임쇼, 토크쇼, 법정 프로그램, 요리 프로그램, 뉴스 프로그램 등을 대상으로 한 작품상, 남여 주연과 조연, 우수 연기자를 대상으로 하는 드라마 연기상, 호스트상, 각본상, 연출상이 시상되며, 창작예술 분야에서 애니메이션상, 캐스팅상, 조명상, 타이틀디자인상, 분장상, 음악상, 편집상, 제작상, 음향상, 음향편집상, 촬영상, 의상상, 연출상, 헤어스타일상, 호스트상, 시각효과상, 스턴트상, 기술상, 각본상 등이 수여된다.
뉴스와 다큐멘터리
NATAS가 주관하며 시상식은 매년 가을에 개최된다. 뉴스방송, 뉴스매거진, 추적보도, 프로그램에 대한 상과 함께 창작예술 분야에서 음악상, 편집상, 제작상, 촬영상, 기술상, 각본상, 조명연출상, 그래픽디자인상 등이 시상된다.
스포츠
NATAS가 주관하며 매년 4~5월 월요일에 뉴욕에서 개최된다. NATAS의 회원 투표로 선정하며, 1979년 첫 시상식에서는 12개 부문이었으나 후에 40개 부문으로 크게 늘었다. 라이브스포츠 중계, 시리즈, 보도상, 스포츠다큐멘터리상, 스포츠뉴스상 등이 수여된다.
어린이와 가족
NATAS가 주관하여 가족과 어린이 중심 프로그램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2022년 12월에 처음으로 시상된다.
기술
혁신적인 기술 발전에 기여한 작품에 수여하는 상으로, 10월에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다. 1978년부터 시상되기 시작했으며, 텔레비전 기술 업계에서 최고의 전문가들이 심사하여 수상자를 결정한다.
지역
미국 전역의 20개 지역을 기준으로 지역 뉴스나 지역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선정한다. 지역 방송의 기준은 미국 가정의 50% 이내를 대상으로 방영된 경우로, 그 이상의 경우에는 전국 에미상의 선정 대상에 포함된다.
국제
국제 에미상은 국제텔레비전예술과학아카데미(IATAS, International Academy of Television Arts and Sciences)에서 주관하며,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제작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매년 11월에 뉴욕에서 개최된다. 1973년 처음 시상되었으며, 예술프로그램, 코미디시리즈, 시사, 다큐멘터리, 드라마시리즈, 뉴스, 비영어권의 미국 프라임타임 프로그램, 텔레비전소설, 단편시리즈, 미니시리즈 등의 작품상과 함께, 남여주연상, 아동 애니메이션 상 등이 시상된다.
학생
장르를 막론하고 대학생이 제작한 작품에 대하여 텔레비전예술과학아카데미에서 수여한다. 고등학생 제작 작품에 대해서는 NATAS가 주관한다.
특별공로상
특별공로상은 주관사에 따라 2가지가 있다. 트러스티스상은 NATAS가 수여하며 특정인의 지속적이며 탁월한 업적을 기려 수여한다. 거버너스상은 ATAS가 수여한다.
밥 호프 인도주의상
인도주의활동이 지속적으로 계속된 사람 가운데 선정한다. 밥 호프를 기려 제정되었으며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서 주관한다.
트로피
에미상의 트로피는 1948년 루이스 맥마너스(Louis McManus)가 아내를 모델로 디자인했다. 트로피의 재료와 크기는 분야마다 차이가 있다. 프라임타임 에미상은 구리, 니켈, 은의 합금에 금도금을 하며, 높이 39cm, 무게 약 3kg이다. 지역 에미상은 높이 29cm, 무게 1.4kg이다.
한국 수상 현황
2022년 7월 12일, 비영어권 드라마인 한국의 <오징어게임>이 그동안 영어권 작품에 대해서만 수여되었던 프라임타임 에미상의 드라마 시리즈 부문 수상 후보로 선정되었다고 발표되었다. <오징어게임>은 작품상뿐 아니라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감독상, 각본상 등 14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9월 4일 개최된 제74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창작예술상 시상식에서 <오징어 게임>은 시각효과상, 프로덕션디자인상, 스턴트퍼포먼스상을 수상했으며 배우 이유미가 게스트상을 받았다. 게스트상은 드라마의 에피소드에서 주인공 수준의 역할을 담당한 배우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9월 12일 개최된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에서는 <오징어 게임>을 연출한 황동혁 감독이 드라마 시리즈 부문 감독상을, 주연을 맡았던 이정재가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을 수상함으로써 <오징어 게임>은 비영어권 드라마 사상 처음으로 6개 부문에서 수상하는 기록을 세웠다.
2024년 제75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에서는 한국계 작가·감독인 이성진이 드라마 <성난 사람들>로 미니시리즈·TV영화 부문 감독상과 작가상을 수상했다. <성난 사람들>은 이날 작품상과 함께 한국계 배우 스티븐 연이 남우주연상을, 베트남계 배우 앨리 웡이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프라임타임 크리에이티브 아츠 에미상 같은 부문에서 캐스팅상·의상상·편집상을 수상하여 8관왕이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