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에라스무스

다른 표기 언어 Saint Erasmus 동의어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Desiderius Erasmus,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 로테로다무스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303(?), 이탈리아 포르미아

요약 에라스무스는 중세 독일에서 함께 존경받은 14명의 거룩한 수호성인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그리스도교도를 박해할 때 에라스무스는 포르미아의 주교였는데, 그곳에서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시리아의 주교였으며, 레바논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고문을 기적적으로 견뎌내고 포르미아까지 천사의 인도를 받은 후 그곳에서 수많은 기적을 행했다고 한다. 그는 시리아인인 안티오크의 성 에라스무스와 혼동되어, 심지어 어떤 학자들은 이들이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한다. 후기의 전설들은 그가 창자를 빼내는 순교를 당했다는 주장을 첨가한다. 그래서 창자의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그를 거룩한 수호성인으로 여긴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590~604 재위)에 의하면, 그의 유골은 포르미아 성당에 안치되었다고 한다. 842년 사라센인들이 포르미아를 파괴한 뒤 에라스무스의 유해는 이탈리아 가에타로 옮겨졌으며, 그곳에서 그는 수호성인으로 칭송받았다.

에라스무스(Saint Erasmus)

ⓒ Master of Meßkirch/wikipedia | Public Domain

선원들에 대한 보호를 나타내는 가시적 표시인 성 엘모의 불(폭풍이 치는 날 배의 돛대 위에 빛의 끄트머리처럼 보이는 빗살 같은 방전을 동반하는 불꽃)과 관련이 있다. 에라스무스는 중세 독일에서 함께 존경받은 14명의 거룩한 수호성인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그리스도교도를 박해할 때 에라스무스는 포르미아의 주교였는데, 그곳에서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590~604 재위)에 의하면, 그의 유골은 포르미아 성당에 안치되었다고 한다. 842년 사라센인들이 포르미아를 파괴한 뒤 에라스무스의 유해는 이탈리아 가에타로 옮겨졌으며, 그곳에서 그는 수호성인으로 칭송받았다.

몇 가지 날조된 문서로 인해 그에 대한 전설은 윤색되었다. 이 문서들에 의하면 그는 시리아의 주교였으며, 레바논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고문을 기적적으로 견뎌내고 포르미아까지 천사의 인도를 받은 후 그곳에서 수많은 기적을 행했다고 한다. 그는 시리아인인 안티오크의 성 에라스무스와 혼동되어, 심지어 어떤 학자들은 이들이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한다.

후기의 전설들은 그가 창자를 빼내는 순교를 당했다는 주장을 첨가한다. 그래서 창자의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그를 거룩한 수호성인으로 여긴다. 엘모는 성 에라스무스라는 이름의 이탈리아식 표기 산트 에르모(Sant' Ermo)에서 파생된 것이다. 여기서 파생된 이름에는 라무스·에라무스·에르무스·에르모·텔모 등이 있다. 그에 대한 전설적인 이야기들은 〈성인행전 Acta Sanctorum〉과 R. 플라홀트의 〈성 에라스무스 S. Erasme〉(1895)에 수록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에라스무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