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어영청등록

다른 표기 언어 御營廳謄錄

요약 조선 후기의 중앙군영인 어영청의 일지.

어영청에서 편찬했다. 불분권 133책. 필사본.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직후에 설치되어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으로 혁파될 때까지 수도방위와 왕권시위를 주임무로 존속했던 어영청의 등록으로서 일지 형식으로 되어 있다.

1625년(인조 3) 2월 22일부터 1884년(고종 21) 8월 27일까지의 기록이다. 책별로 기록된 연대는 제1책은 인조조, 제2책은 인조·효종조, 제3·4책은 현종조, 제5~27책은 숙종조, 제28~30책은 경종조, 제31책은 경종·영조조, 제32~67책은 영조조, 제68책은 영조·정조조, 제69~87책은 정조조, 제88책은 정조·순조조, 제89~106책은 순조조, 제107~115책은 헌종조, 제116책은 헌종·철종조, 제117~120책은 철종조, 제121책은 철종·고종조, 제122~133책은 고종조의 기사로 되어 있다.

비변사, 병조, 다른 군문 및 각 도 감사·병사 등과 주고받은 장계(狀啓)·감결·상소·관문·사목·전교(傳敎)를 비롯한 문건들을 중심으로 엮어져 있다. 어영군의 충원, 상번시위(上番侍衛), 조련(操鍊), 병력규모, 병력배치, 군정의 도피, 징포 등 각종 운영상황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주요기사에 대해서는 각 면 위에 두주(頭註)식으로 적어놓아 참고에 편리하도록 했다.

어영청은 효종의 북벌정책과 관련된 핵심적 군문이었고, 이후에도 정권의 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군영이기 때문에 조선 후기 군제사 및 정치사는 물론, 사회경제사 연구의 기본사료이다.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어영청등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