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양예수

다른 표기 언어 楊禮壽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1597(선조 30)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중기의 의관.

본관은 하음. 자는 경보, 호는 퇴사옹. 1563년(명종 18) 내의로 순회세자의 병을 치료하다가 세자가 죽자 투옥되었다. 이듬해 석방되어 예빈시판관이 되었다. 1565년 어의를 지내며 통정대부에 올랐고, 명종이 죽자 의관들이 처벌당할 때 투옥되었다가 곧 복직되었다.

1580년(선조 13) 가선대부에, 1586년 가의대부에 오르고, 1595년 동지중추부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태의로서 〈동의보감 東醫寶鑑〉의 편찬에 참여했다. 선조초에 박세거(朴世擧)·손사명 등과 함께 〈의림촬요 醫林撮要〉를 저술했다. 임진왜란 때 의인왕후의 호종의관이 되기도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4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의림촬요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양예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