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양성면·원곡면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 고려때부터 양성으로 불려졌으며, 이후 양성군으로 승격되었다가 1914년 군면 폐합때 안성군으로 통폐합 되었다.
대한민국 경기도 안성시 서부에 있었던 옛 고을. 삼국시대 백제(혹은 고구려)의 사복홀·사파을로 불리던 지역이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757년(경덕왕 16)에 적성현으로 이름을 바꾸고, 백성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양성현으로 개칭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수주(지금의 수원)에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1175년(명종 5)에야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다.
조선시대 1413년(태종 13), 8도제가 실시되어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양성은 용인·진위·평택·안성·양지 등의 읍에 둘러싸인 작은 고을이었으나, 아산만 일대에 창고가 있었던 월경지들이 분산되어 있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군이 되어 공주부 관하에 있다가, 1896년 도제 실시로 경기도 소속이 되었다.
1907년 월경지 정리에 의해 비입지였던 율북면·서생면·감미동면·승량면이 수원으로, 두입지였던 소고니면이 진위로 편입됨에 따라 면적이 크게 축소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양성군을 비롯하여 안성군·죽산군 등 3개군을 통합하여 안성군을 이루었다. 양성군의 폐지로 인해 읍내면·지동면·송오리면·금곡면·덕산면은 양성면으로, 공제면·도일면·구천리면·영통면·구룡동면은 공도면으로, 용동면·반곡면·원당면·승량원면은 원곡면으로 통합되어 안성군에 속하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