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양구군의 산업과 교통

다른 표기 언어

경지면적은 49.76㎢로 경지율이 7%에 불과하지만 농업인구가 5,186명으로 전체인구의 21%를 차지하며 농업의존도가 높다. 논이 19.86㎢, 밭이 29.89㎢로 논보다 밭이 많은데, 이것은 이곳이 험준한 산간지역일 뿐만 아니라 주요 평야지역이 화천 댐의 건설로 수몰되었기 때문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 외에 옥수수·콩·감자 등이며, 특용작물로 들깨·참깨·당귀가 생산된다. 쌀은 예로부터 질이 좋기로 이름 나 있다. 최근에는 고랭지채소와 약초 재배 면적이 늘고 있다. 군 전역에서 한우사육과 양돈·양계 등의 목축업이 행해지며 양구읍과 동면을 중심으로 양봉이 활발하다.

양구군 동면

강원 양구군 동면의 밭으로 일을 나온 농부의 모습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수산업은 소양호와 파로호에서 잉어·쏘가리·붕어·빙어 등을 중심으로 소규모의 내수면어업이 이루어지는데, 비교적 오염도가 낮다. 수입천에서는 특산어인 열목이와 어름치·황쏘가리 등이 서식한다. 임야면적은 564.19㎢로 군면적의 약 80%를 차지하며(2013), 주요 임산물은 송이버섯·밤·약초·산나물 등이다.

내륙산간지방으로 교통이 불편하여 광공업은 부진한 편이다. 군내에는 15개 광구가 있는데 2013년 기준 가행광구는 9개소이다. 이 광구는 고령토를 생산하고있다. 군내에는 13개 제조업체에서 214명의 종업원이 일하고 있으며, 양구읍·국토정중앙면에 주로 분포한다(2013). 상업활동은 1941년 파로호, 1973년 소양호가 생기면서 지역간의 왕래가 불편하게 되어 정기시장의 발달이 위축되었다. 양구읍의 중앙시장을 중심으로 공산품·일용품·지역산물 등이 거래되고 있다. 군부대가 많아 면회인을 상대로 하는 서비스업이 활발하다.

험준한 산맥과 내륙호수로 격리되어 있어 교통이 불편한 편이다. 양구읍을 중심으로 국도와 지방도가 군내 읍·면 지역을 연결해주고 있다. 도로총길이 362.52㎞, 도로포장률 79.9%이다(2013). 북한 강원도와 이어졌던 31번 국도가 군의 남북방향으로 뻗어내리다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광치령을 넘어 인제군으로 이어지며, 인제, 춘천을 잇는 국도가 군의 남부를 지난다. 춘천의 소양호 선착장에서 양구를 잇는 27㎞의 뱃길로 정기여객선이 1일 왕복 10회 운항되며, 파로호를 이용한 소규모의 수운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강원도

강원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양구군의 산업과 교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