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약사여래나 약사보원경의 내용을 그린 그림.
약사는 동방 정유리세계의 교주로 병든 자를 구원하는 의왕이기도 하다. 약사유리광여래·의왕여래라고도 한다. 약사여래 관련 경전은 4종이 전하는데, 650년 당나라 현장이 한역한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藥師瑠璃光如來本願功德經〉(약칭 약사경 또는 약사본원경)이 대표적이며 가장 널리 유포되었다.
약사여래도의 도상적 특징은 좌상이든 입상이든 왼손에 약그릇[藥器 또는 藥壺]을 가지고 있으며 8세기경에 정형화된 것으로 보인다. 형식은 약사여래만을 그린 독존도, 일광과 월광을 협시보살로 거느린 약사삼존도, 12신장을 권속으로 거느린 약사성중도, 동방 유리광세계를 그린 약사정토변상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일본 석마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약사여래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회암사약사삼존도〉(1565), 통도사 소장의 〈약사성중도〉(1775)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