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메이지 유신을 위해 목숨을 바친 3,588명을 제사지내기 위한 시설로 창건되었으며, 1879년 순국한 자를 기념한다는 뜻의 야스쿠니 신사로 개칭되었다. 태평양 전쟁 등 침략전쟁 참전 군인들도 합사되어 현재는 제사의 대상이 약 250만 명에 이르고, 왕실의 숭배심도 두텁다. 1945년 이전에는 천황숭배와 군국주의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패전 후 국가관리에서 벗어나 오늘날에는 단독 종교법인으로 되어 있다. 총리 등 정부 관리의 공식적인 참배가 합사된 침략 전쟁 전범들의 정당화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일본 제국주의 피해국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개요
일본 근대화의 계기가 된 메이지 유신(明治維新)을 위해 목숨을 바친 3,588명을 제사지내기 위해 1869년 도쿄 쇼콘사(東京招魂社)로 창건되었다. 1879년 국가를 위해 순국한 자를 기념한다는 뜻을 가진 야스쿠니 신사로 개칭되었다. 창건 후에도 사가(佐賀)·신푸렌(神風連)·하기(萩)의 각 난이나 세이난 전쟁(西南戰爭), 청일전쟁, 러일전쟁 그리고 제1·2차 세계대전 등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생전의 신분·계급·성별·연령에 상관없이 합동으로 제사를 지낸다. 일본의 전통적 다신교 신앙에 따라, 죽은 자들도 신이 된다고 생각하므로, 단순한 제사가 아니라 합사된 자들을 신으로 숭앙하는 의미가 있다. 정기제사는 매년 봄(4. 21~23)과 가을(10. 17~19)에 2차례 행해진다.
경과
1945년 이전에는 육해군성 소관의 특수신사로서 덴노 숭배와 군국주의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현인신(現人神)으로 떠받드는 덴노가 이례적으로 직접 참배하는 등 각별한 취급을 받고 있었다. 그동안 누적된 제사의 대상이 현재 약 250만 명(여자는 6만 명)에 이르며, 제신(祭神)이 대개 전몰유족의 육친이나 친척으로 되어 있어 전국 각지의 소위 신사신앙과는 달리 특별한 존경을 받고 있다. 왕실의 숭배심도 두텁다. 패전 후 국가관리에서 벗어나 오늘날에는 단독 종교법인으로 되어 있지만, 국가적 보호를 둘러싸고 여전히 논의가 분분하다.
일본 국내의 갈등
1969년 자민당(自民黨)은 종교법인 야스쿠니 신사를 해산시켜 특수법인으로 존속시킨다는, 즉 정부의 감독하에 국비를 지출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야스쿠니 신사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그러나 여론을 배경으로 하여 야당이 강경하게 반대했고, 그리스도교를 비롯한 거의 모든 종교계가 이 안을 국가 신도(神道)를 부활시키기 위한 기도이자 종교의 자유와 정교(政敎)의 분리를 규정하고 있는 헌법(제20·89조)의 위기라고 주장하며 반대운동을 계속함에 따라 1974년 이 법안이 폐안되었다. 1975년 다시 자민당은 덴노나 정부수뇌 등의 공식적인 신사참배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전몰자위령표경법안(戰歿者慰靈表敬法案)을 제출하고자 기도했으나 이 또한 강경한 반대여론에 부딪혀 무위로 끝났다.
1975년 다시 자민당은 덴노나 정부수뇌 등의 공식적인 신사참배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전몰자위령표경법안(戰歿者慰靈表敬法案)을 제출하고자 기도했으나 이 또한 강경한 반대여론에 부딪혀 무위로 끝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해부터 총리·각료의 사실상의 공식참배가 시작되어, '야스쿠니 신사문제'는 국론을 이분하는 정치적·사상적 대결점으로 남아 있다. '야스쿠니 신사문제'는 국가적 보호 유지의 방법, 총리의 공식 참배에 대한 판단, A급 전범 합사문제 등 외교적 갈등, 신사의 역사적 성격과 국가·정부와의 관계를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도 지속적인 현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 등 인접 국가와의 문제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에 대한 일본 정부 공식 참배에 대한 반발
일본제국주의 시대의 전범을 합사한 야스쿠니신사에 대한 정부 대표로서의 총리나 각료의 공식참배가 피해국인 한국과 중국 및 동남아시아 각국의 반발을 사면서 외교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전범을 신격화한 신사에 대한 참배는 사실상 일본 군국주의와 침략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순으로 보인다는 점이 가장 큰 외교적 갈등 요소이다. 야스쿠니신사에는 태평양 전쟁을 일으켜 A급 전범인 도조 히데키를 비롯, 일본제국주의 시대에 아시아 일대를 무력으로 점령하는 데 공을 세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벌어진 도쿄 전범 재판에서 침략 전쟁 수행의 죄로 사형 당한 도아하라 겐지, 이타가키 세이시로, 마츠이 이와네, 기무라 헤이타로, 무토 아키라 등이 합사되어 있다.
강제징용된 한국·대만인들의 합사에 대한 반발
또 하나의 갈등은 한국, 대만, 오키나와 출신의 강제징집자들을 신사에 합사한 문제이다. 유골도 없이 명부에 임의로 이름을 올렸을 뿐이므로 해당 국가의 후손들은 망자의 이름을 삭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야스쿠니 신사가 단지 종교시설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명부에 손을 대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이에 반발해 많은 유족들이 합사취하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일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