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쑨원의 후기생애

다른 표기 언어

1912년 9월 위안스카이는 쑨원을 전국 철도 감독에 임명했다.

1913년 3월 동맹회를 재편하여 국민당을 만들고 또 그 당수로 활약했던 쑹자오런[宋敎仁]이 위안스카이의 사주를 받은 자에 의해 암살당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분기점으로 하여 쑨원과 위안스카이의 협조체제는 붕괴되었다. 이로 인해 제2차 혁명전선이 형성되었고 쑨원은 위안스카이에게 반기를 들게 되었다. 그러나 이 혁명이 실패하자 그는 다시 일본으로 도피했다. 일본에서 쑨원은 추후 중국에 대한 광대한 조차권을 주겠다는 약속을 하여 일본의 도움을 얻어내려 했으나 여의치 못했다.

또한 혁명동지들에게 자기 자신에 대한 개인적인 충성을 맹세하라고 강요함으로써 많은 혁명가들이 그에게 등을 돌리게 되었다. 게다가 1914년 11월 전처와 이혼도 하지 않은 채 자신의 비서인 쑹칭링[宋慶齡]과 결혼함으로써 크게 비난을 받았다.

내부의 저항과 외부의 압력이 한데 어우러져 위안스카이는 1916년 좌절 속에서 병으로 죽었다. 그 다음해 쑨원은 상하이에서 광둥으로 가서, 국무원 총리인 돤치루이[段祺瑞]에 대항하는 운동을 펼쳤다. 그해 7월 쑨원은 광둥 정부의 총통으로 선출되었으나, 1918년 중반 그 직책을 사임하고 다시 상하이로 가게 되었다.

그 이유는 광둥 지방의 군벌(軍閥)인 루룽팅[陸榮廷]의 지지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그보다 앞서 루룽팅은 쑨원의 군대가 광둥 지역 밖에 주둔하는 조건으로 쑨원이 20개 대대(大隊)의 작전권을 갖는 데 동의했다. 쑨원은 이 조건을 받아들여 천중밍[陳炯明]을 이 군대의 사령관으로 임명했고 그 군대를 푸젠 성[福建省]에 파견했다. 천중밍을 설득하여 루룽팅과 싸우게 함으로써 그는 총통직에 복직하여 16개월 동안 버틸 수 있었으나, 그뒤 천중밍이 반란을 일으키자 다시 상하이로 도피했다.

상하이에서 장시[江西]와 윈난[雲南]의 군대를 불러들여 이 군대의 힘으로 다시 광둥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1923년 2월 새로운 체제의 총통으로 취임했다.

한편 쑨원의 정치무대에 새로운 변수가 생겨났다. 서구와 일본으로부터 원조를 얻어내는 데 실패하자 그는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일으켜 집권하게 된 소비에트 정부에 점점 더 눈길을 돌리게 되었다. 소련의 외교관인 아돌프 요페가 1922, 1923년 2차례에 걸쳐 상하이로 그를 찾아왔다.

1923년의 방문에서 쑨원과 요페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쑨원-요페 선언). 그 내용은 공산체제는 중국에 적합하지 않으며, 소련은 중국에서의 모든 특권을 포기함과 동시에 외몽골 이남지역에 대하여 영향력을 행사할 의사가 없다는 등의 것이었다. 한편 소련의 권유로 중국공산당은 국민당과 협력하기로 결정했다. 1923년 10월 코민테른의 대표인 미하일 보로딘이 광둥을 방문하며 곧 쑨원의 신임을 얻었다.

1924년초 쑨원은 소비에트 공산당의 조직을 모델로 하여, 상명하달식(上命下達式)의 기강이 엄격한 조직으로 국민당을 개편했다. 그의 지시에 따라 국민당은 전당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으로 3명의 공산당원을 선임했고 군관학교(쑨원은 이 학교의 교장으로 장제스[蔣介石]를 임명했음)의 설립을 승인했다. 국민당 재건노력은 쑨원이 그의 정치철학인 삼민주의(三民主義)에 대한 강연내용에도 이미 언급되었던 것이다.

이같은 조치를 통해 국민당은 조직이 훨씬 강화되었지만, 1925년 3월 쑨원이 베이징에서 암으로 사망했을 때 그의 권위에 도전하는 세력도 만만하지 않았다. 그의 사체(死體)는 1929년까지 베이징 근처의 비윈 사[碧雲寺]에 매장되지 않은 채 안치되어 있다가, 그뒤 난징으로 옮겨져 중산링[中山陵]에 매장되었다.

중산링(中山陵)

중산링에는 쑨원이 안장되있다.

ⓒ Airunp/wikipedia | CC BY-SA 3.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쑨원의 후기생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