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쑤저우

다른 표기 언어 Suzhou , 苏州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동부 장쑤 성 남부, 타이후 호 동쪽
인구 7,070,000명 (2020년 추계)
면적 8,488.42㎢
언어 중국어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요약 사방이 운하로 둘러싸여 있으며, 작은 운하들이 교차하고 있는 도시이다. 호수·강·연못과 세계적으로 유명한 정원이 있고, 타이후 호 동안을 따라 풍경이 아름다운 구릉이 이어지며 자연미와 인공미가 조화되어 대단히 매력적이다. 뿐만 아니라 사찰·누각·석각벽화 등과 함께 150여 개의 우아한 정원을 자랑하는 도시이다. 명대와 청대 초기 쑤저우의 번영은 최고조에 달해 수많은 지주 가문들의 근거지로서 학문과 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 열강의 경쟁으로 대부분 소규모 수공업 형태로 운영되던 이 지역의 견직업이 심한 타격을 입었으며 이후 일본에 점령당했다. 1908년 쑤저우와 상하이·난징을 연결하는 최초의 철도 노선이 개통되었고, 지선과 간선도로가 연결되어 쿤산, 창수, 상하이, 항저우로 갈 수 있게 되었다.

북사탑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옛 이름은 우셴[吳縣:1912~49]이다. 지구급(地區級) 시로 타이후 호[太湖] 북쪽과 북동쪽의 양쯔 강[揚子江] 삼각주 지역을 관장하는 쑤저우 지구의 행정중심지이다. 이 도시는 대운하의 남쪽 지역에 해당하는 타이후 호 동쪽에 있다.

쑤저우 시 자체는 사방이 운하로 둘러싸여 있으며, 작은 운하들이 교차하고 있는 도시이다. 호수·강·연못과 세계적으로 유명한 정원이 있고, 타이후 호 동안을 따라 풍경이 아름다운 구릉이 이어지며 자연미와 인공미가 조화되어 대단히 아름답다. 쑤저우는 중국에서 몇 안되는 가장 비옥한 농업지대의 중심부에 있다.

쑤저우는 BC 484년경 건립되어 얼마 동안 오(吳)나라의 수도로 있었다. 그러나 진(秦:BC 221~206)이 들어선 후 양쯔 강 남쪽, 즉 지금의 장쑤 성과 저장 성[浙江省] 대부분을 관할하는 회계군(會稽郡)의 군청소재지인 우셴이 세워졌다. AD 129년 후한(後漢)은 회계군을 분리하여 오군을 설치하고 쑤저우를 군청소재지로 삼았다. 쑤저우라는 이름은 수(隋:581~618)가 중국 남부를 통일한 589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도시는 대운하의 건설로 중국의 대곡창지대로 급성장한 지역의 행정·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당(唐:618~907)은 갑자기 커진 이 도시를 2개의 현으로 나누었다. 당 몰락 후의 정치적 분열기에 이 지역에서 일어난 오월(吳越)이라는 독립정권은 타이후 호 주변 지역에 대규모 간척사업을 실시했다. 쑤저우는 송(960~1279)·원(1279~1368) 시대에도 계속해서 번영을 누렸다.

13세기에 이 도시를 방문한 베네치아 출신의 여행가 마르코 폴로도 쑤저우의 화려함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양쯔 강 삼각주에 토사가 쌓이고 계속된 관개·간척 사업으로 바다에 접근하는 일이 불가능하게 되기 전에는 쑹장 강[松江]과 쑤저우 강[蘇州河]을 통해 곧장 바다로 나갈 수 있었으므로, 얼마 동안 외국선박이 정박하는 항구 구실을 했다.

명대(1368~1644)와 청대(1644~1911) 초기, 쑤저우의 번영은 최고조에 달했다. 수많은 지주(地主) 가문들의 근거지로서 학문과 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대규모 정원들이 많은 작은 연못 주위에 들어섰다. 이 도시의 부유함은 견직업과 자수 같은 부차적인 수공예 등에서 비롯되었다. 쑤저우는 또한 상업 자본의 주요출처였으며, 재정·금융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태평천국운동(1850~64) 기간인 1860~63년에 걸쳐, 이 운동의 지도자 이수성(李秀成)이 지휘하는 태평군이 쑤저우를 점령하고 있었다. 쑤저우는 태평천국의 개혁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된 몇 도시 가운데 하나였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파괴되었다. 19세기말에 이르러 많이 복구되었으나 상업상의 패권을 놓고 이웃 도시 상하이[上海]와 겨루게 되었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 시모노세키 조약[下關條約]이 체결된 후 1896년 이 도시는 대외무역에 개방되었으나 중요한 성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 열강(列强)의 경쟁으로 대부분 소규모 수공업 형태로 운영되던 이 지역의 견직업이 심한 타격을 입었다. 이 무렵 공단과 면직물을 제조하는 몇 개의 근대식 공장이 설립되었으며 대형 전기발전소도 들어섰다. 그러나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 근대식 공장은 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쑤저우는 1937~45년 일본에 점령당했다.

1908년 쑤저우와 상하이·난징[南京]을 연결하는 최초의 철도 노선이 개통되었다. 1936년 이 노선과 상하이-항저우[杭州] 간 주 노선을 자싱[嘉興]에서 연결하는 지선이 건설되었다. 또한 간선도로를 이용하여 양쯔 강 삼각주 지역 내에 있는 쿤산[昆山]·창수[常熟] 및 상하이·항저우로 갈 수 있다. 그러나 운송수단으로는 수로를 많이 이용한다.

이 도시는 교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20세기초 쑤저우대학교와 쑤저우미술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얼마 후 쑤난[蘇南] 공업대학과 양잠전문학교도 세워졌다. 1950년대말 쑤저우는 전통 수공예의 도제(徒弟) 양성체제로 인해 명성을 얻었다.

1950년대 철강공장이 들어섰으나 중공업은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그러나 견·면직물 산업은 대규모 산업으로 재건되었다. 쑤저우는 사찰·누각·석각벽화(石刻壁畵) 등과 함께 150여 개의 우아한 정원을 자랑하는 도시이다. 1978년 재건된 중국정원협회는 국제적인 학술교류단체를 조직했다.

지도
쑤저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쑤저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