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심장박동

다른 표기 언어 heart beat , 心臟搏動

요약 혈액순환을 유지하기 위한 심장의 주기적인 수축과 확장.

박동은 박동원에 의해 시작되고 조절되는데, 심장은 항상 신경계의 영향을 받고 있으나 그것을 연결하고 있는 미주신경이 끊어진 뒤에도 박동은 계속된다. 각각의 심장박동은 동방결절(sinoatrial node/S-A node, sinus node)에서 비롯된 흥분 파동에 의해 시작된다. 동방결절은 정맥혈(靜脈血)을 심장으로 돌려보내는 상대정맥(上大靜脈) 근처의 우심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수화된 심장근육의 작은 다발이다.

파동은 동방결절에서 우심방 전체로 퍼진 뒤 좌심방으로 퍼져나가는데, 이로써 심방 수축이 일어나게 되고 이완되어 있는 심실로 혈액이 들어가게 된다. 파동은 좌심방에 도착하기 전에 심방중격(心房中隔:2개의 심방을 나누는 근육성 벽)의 오른쪽에 있는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A-V node)에 도달한다. 방실결절은 2개의 심방이 수축을 끝낼 때까지, 파동이 심실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킨다.

그러고 나서 방실결절은 방실다발을 통과하고 심실중격 아래쪽을 지나 푸르키니에섬유(Purkinje fibres)까지 파동을 전달하는데, 푸르키니에섬유는 심실의 모든 부분으로 가지를 뻗고 있다. 이렇게 넓게 퍼져 있는 섬유다발과 섬유망은 심방에서보다 4~5배 빠르게 파동을 전달하여, 심실 전체가 거의 동시에 수축하게 된다.

심실이 수축할 때 우심실은 폐동맥으로, 좌심실은 대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낸다. 이때의 혈압은 혈액을 이완된 심방으로 흘러들어가도록 하며 심장이 다음 번 동방결절 자극에 대해 준비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심장박동률은 심장의 크기에 반비례해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코끼리의 심장박동률은 평균 매분 25회이고, 카나리아는 약 1,000회이다. 사람의 심장박동률은 출생 때(평균 130회)부터 사춘기까지 점차 감소하다가 늙어서는 다시 약간 증가하는데, 성인의 박동률은 평균 80회이다.

운동, 정서적 흥분, 발열이 있을 때는 박동률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고, 잠잘 때는 감소한다. 가슴에서 느껴지는 주기적인 박동을 심첨박동(apex beat)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심장박동과 일치한다. 심첨박동은 심장수축이 시작될 때 둥글고 단단해진 심실벽이 흉부의 벽에 가하는 압력 때문에 발생한다. 심장박동에 동반되는 주기적인 소리를 심음(心音)이라고 한다.→ 심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생물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심장박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