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인화성 가스나 먼지가 폭발할 위험이 있는 광산과 같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조명장치.
18세기 후반 영국의 탄광에서 흔히 발생했던 메탄 가스 폭발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광부용 조명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아일랜드의 의사 W. R. 클래니는 1813년경 석유불꽃을 수봉(水封)으로 주위 공기와 분리시킨 등을 발명했는데, 이 등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펌프로 공기를 계속 공급해야 했다.
1815년 영국의 공학자 G. 스티븐슨은 높은 공기흡입속도로 불꽃의 연소압을 유지하여 폭발성 가스의 인입을 막을 수 있는 등을 발명했다. 1815년에 H. 데이비 경은 자신의 이름을 붙인 등을 발명했는데, 불꽃의 바깥쪽을 2중 철망으로 둘러싸서 불꽃이 밖으로 나오지 않게 했으며, 또한 철망을 통해 불꽃의 열이 빨리 흩어지도록 했다.
안전손전등은 1900년초 광산에 도입되어, 20세기 중반까지 거의 모든 광산에서 사용되었다. 전등의 상부에 있는 안전장치는 전구가 깨지면 전류가 차단되도록 설계되었다. 이중 필라멘트 전구가 사용되면서 필라멘트 1개가 고장나도 계속 불을 밝힐 수 있었다. 안전등은 폭발성 가스가 있으면 불길이 늘어나지만, 전등으로는 유독 가스나 산소부족을 알 수 없다. 따라서 불꽃안전등을 작업자들이 함께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하거나, 불꽃등 또는 다른 형태의 경보장치를 사용하여 자주 점검해야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건축양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