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안산시

다른 표기 언어 安山市
요약 테이블
위치 경기도 중서부
인구 628,374 (2024)
면적 149.50㎢
행정구역 2개구 25개동 1,232통
사이트 http://www.iansan.net/

요약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시. 경기도 반월출장소가 1986년에 시로 승격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도시계획의 영향으로 주거지역과 공업단지가 뚜렷하게 분리되어 있다. 국도와 고속도로를 비롯하여 지하철 4호선이 잘 정비되어 있어 사통팔달 교통이 편리하다. 관광지로 대부도와 고잔저수지·화랑농장저수지가 있다. 면적 149.50㎢, 인구 628,374(2024).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시. 수도권의 공업시설과 인구분산을 위한 임해공업도시로서 1986년 시로 승격되었다. 주거·공업·상업 지역이 분리된 계획적 도시구조를 갖춘 신흥공업도시이다. 상록구·단원구 2개구 25개동 1,232개통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청소재지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로 387이다. 면적 149.50㎢, 인구 628,374(2024).

안산시

안산시 행정구역

ⓒ 안우석/wikipedia | CC BY-SA 4.0

연혁

본래 백제(또는 고구려라고도 함)의 장항구현(獐項口縣) 또는 좌사야홀차(左斯也忽次, 古斯也忽次)인데,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 16)에 장구군(獐口郡)으로 개칭되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안산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018년(현종 9)에는 수주(水州, 수원)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1308년(충렬왕 34)에 문종의 탄생지라 하여 군으로 승격되었다.

조선시대에도 안산군을 유지했으며, 별호는 연성(蓮城)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인천부 안산군, 1896년에 경기도 안산군이 되었다. 1907년의 월경지 정리에 의해 광주의 두입지였던 성곶면·월곡면·북방면이 안산군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안산군이 폐지되고, 6개면이 수암면과 군자면으로 통합되어 시흥군으로 편입되었고, 월곡면·북방면·성곶면은 반월면으로 통합되어 화성군(지금의 화성시)에 편입되었다.

1976년에 경기도 반월도시개발 지원사업소가, 1979년에 수암면·군자면의 13개리와 화성군 반월면 일부에 경기도 반월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6년에 반월출장소가 안산시로 승격되었다. 1994년 군자동의 명칭을 원곡본동으로 변경했다. 같은 해 12월, 화성군 반월면 팔곡일리·건건리·사사리 일원과 옹진군 대부면 일원이 편입되었다. 이에 따라 시역이 대폭 확장되어 대부출장소, 반월동, 대부동이 신설되었다.

1995년 시흥시 수암동·장상동·장하동 일원과 화정동 일부를 편입했다. 1997년 대부동이 대부출장소로 흡수되었고, 1998년 공단동은 초지동에 편입되었다. 2002년 상록구와 단원구가 설치되었다. 2005년 대부출장소를 대부동으로 전환하였다.

인구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다. 반월출장소로 불리던 1980년에 3만 1,189명이던 인구가 1994년에는 46만 380명으로 약 15배 증가했다. 1995년 50만 7,952명, 2000년 57만 5,574명, 2005년 69만 7,239명, 2010년 75만 3,862명으로 증가해왔다. 2024년 기준 인구는 62만 8,374명이며 이 중 외국인 인구는 6%(4만 9,249명)를 차지하고 있다.

도시계획의 영향으로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이 뚜렷하게 분리되어 있어, 각 동별 인구분포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초지동(4만 5,783명)·호수동(4만 2,742명) 순으로 인구가 분포하며, 원곡동(5,601명)에 가장 적은 인구가 거주한다(2024). 특히 초지동의 경우 국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중소기업 단지가 조성되어 있어, 남성인구(2만 3,847명)가 여성인구(2만 2,606명)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연혁

본래 백제(또는 고구려라고도 함)의 장항구현(獐項口縣) 또는 좌사야홀차(左斯也忽次:古斯也忽次)인데,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 16)에 장구군(獐口郡)으로 개칭되어 한주(漢州:경기 광주)의 영현이 되었다.이때 이포현(梨浦縣)을 영현으로 관장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안산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018년(현종 9)에는 수주(水州:수원)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후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다. 1308년(충렬왕 34)에 문종의 탄생지라 하여 군으로 승격되었다. 조선시대에도 안산군을 유지했으며, 별호는 연성(蓮城)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인천부 안산군, 1896년에 경기도 안산군이 되었다.

1907년의 월경지 정리에 의해 광주의 두입지였던 성곶면·월곡면·북방면이 안산군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안산군이 폐지되고, 군내면·인화면·초산면이 수암면으로, 마유면·대월면·와리면이 군자면으로 통합되어 시흥군에 병합되고, 월곡면·북방면·성곶면은 반월면으로 통합되어 화성군(지금의 화성시)에 편입되었다. 1976년에 경기도 반월도시개발 지원사업소가, 1979년에 수암면·군자면의 13개리와 화성군 반월면 일부에 경기도 반월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6년에 반월출장소가 안산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화성군 반월면의 건건리·사사리·팔곡일리·심중리와 시흥시 안산동, 옹진군 대부면이 안산시에 대부동으로 편입되어 시역이 대폭 확장되었다. 2002년 상록구·단원구가 설치되었다.

자연환경

시의 동부와 북부는 200m 내외의 산지를 이루며, 그밖의 지역은 100m 이하의 구릉지 또는 저지대가 대부분이다. 동부산지는 화성시와 접하며, 시흥시와 접하고 있는 북부에는 광덕산·마산 등이 솟아 있다. 그밖에 시내 곳곳에 가사미산을 비롯한 여러 구릉지들이 하천을 끼고 흩어져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반월천·안산천·화정천 등이 시내를 지나 경기만에 흘러든다. 이 하천 양안과 일부 해안 일대에 발달한 충적지가 대부분 논으로 이용된다. 기후는 연평균기온 11℃ 내외, 1월평균기온 -4℃ 내외, 8월평균기온 26℃ 내외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300㎜ 정도이다.

반월천

ⓒ 오모군/wikipedia | CC BY 3.0

인구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다. 반월출장소로 불리던 1980년에 3만 1,189명이던 인구가 1994년에는 46만 380명으로 약 15배 증가했다. 도시계획의 영향으로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이 뚜렷하게 분리되어 있어, 각 동별 인구분포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남녀성비는 남자가 많은 108:100으로 계획적으로 발달한 공업도시의 인구 특성을 보여준다.

특히 공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는 원시동·목내동·성곡동 등은 남녀성비가 416:100으로 나타나 공장지대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취락경관은 신도시가 조성된 서부지역과 그밖의 지역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서부지역은 부천-화성을 잇는 국도를 기준으로 남쪽에는 대규모 공업단지가 들어서 있으며, 북쪽에는 주거지가 조성되어 있다. 그밖에 시흥시와의 경계지역은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어 농촌 경관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는 고잔동·원곡동 일대의 경관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산업과 교통

처음부터 계획도시로 출발했기 때문에 제조업의 비중이 높고 농업의 비중이 매우 낮다. 총 경지면적 21.87㎢ 가운데 논이 8.33㎢, 밭이 13.54㎢이며, 경지율은 14.6%이다(2012). 주요 농산물은 쌀 이외에 배추·무·상추 등 각종 채소류이다. 임야는 63.84㎢로 전체면적의 약 42%를 차지하는데 경기도 내 다른 시·군과 비교할 때 낮은 편에 속하며, 밤·도토리가 많이 난다.

대부도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수산업은 대부도를 중심으로 근해어업이 이루어지며, 2014년 기준 165척의 어선을 보유하고 있다. 제조업은 서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발달되어 2,512개 업체에 10만 7,925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전자부품·금속가공제품·기계장비·화학제품·고무및플라스틱제품·섬유공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2014).

상업은 35개소의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대형마트 6개소, 전문점 2개소, 백화점 1개소, 쇼핑센터 4개소, 일반시장 1개소가 있으며 그외 농수산물센터 21개 점포가 있다(2014). 공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서비스업은 활발해 요식업과 숙박업 등 관련업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부천-화성, 수원-인천을 연결하는 국도 이외에도 수도권 전철인 안산선이 과천을 거쳐 지하철 4호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한때는 협궤철도인 수인선이 지났으나 운행이 중단되었다. 또한 신갈-안산간 고속도로가 완공되어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에 바로 연결되며, 서해안고속도로가 완공됨에 따라 사통팔달한 편리한 교통체계를 갖추었다. 그밖에 시외 버스가 서울·인천·안양·수원 등 인접 도시를 운행하고 있다. 도로총길이 867.92km, 도로포장률 99.3%이다(2014).

유물·유적·관광

국가지정문화재(보물 1, 중요민속자료 1)과 지방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4, 기념물 9, 무형문화재 2, 문화재자료 7), 등록문화재 1점이 있다. 유물·유적으로는 선사시대 유물과 분묘유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선사시대 유물로는 월피동·양상동의 안산천변 구릉지에 흩어져 있는 고인돌에서 출토된 돌도끼·민무늬토기·숫돌 등과 초지동 조개더미에서 나온 빗살무늬토기·간돌도끼·골각기 등이 있다.

분묘유적으로는 일동의 분묘에서 고려시대 때 사용했던 숟가락, 젓가락, 구리 돈이 발굴되었고, 목내동에 소릉이 있다. 특히 소릉은 조선시대 문종의 비였던 현덕왕후 권씨의 폐릉으로 지대석·난간석주·석양 등 28점의 각종 유물이 발굴되었다. 그밖에 이동에 있는 실학자 이익 선생묘 등 다수의 분묘유적이 있다. 그밖에 유적으로는 초지동에 있는 별망성지와 신길동에 남아 있는 신각사옹원분원지가 대표적이다.

이익 선생묘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안산시는 안산9경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시화호 조력발전소, 대부해솔길, 구봉도 낙조, 탄도 바닷길, 풍도, 동주염전, 안산 갈대습지, 다문화거리, 노정봉 공원 등이다. 이 외에도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생태곤충 체험관, 동춘서커스, 성호기념관, 경기도미술관, 유리섬 박물관, 종이미술관, 안산식물원, 단원미술관 등의 문화시설이 조성되어 있어 주민들의 여가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어촌인 대부도와 안산호수공원과 화랑유원지도 관광지로 인기가 높다. 대부도의 포구는 싱싱한 해물을 팔고 사는 시장이 형성되어 도시민들에게 볼거리가 되고 있다. 상록구에 있는 안산호수공원은 기존의 구룡천 하류에 제방을 막아 조성된 고잔저수지를 보존하면서 주변에 다양한 체육시설과 공연장, 산책로, 광장, 갈대습지를 조성하여 인근 주민들의 여가공간으로 자리잡았다. 단원구에 있는 화랑유원지는 도시근린공원 성격의 유원지이다. 2014년 4월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합동분향소가 설치되었던 곳이다.

교육·문화·의료·복지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최용신(崔容信)이 1931년 본오동 천곡교회에 개설한 야학당이 발전한 본오초등학교가 최초이며, 그뒤 1950년대에 원곡초등학교가, 1960년대에는 고잔·석호 초등학교가 차례로 문을 열었다. 1980년대에는 급격한 인구증가의 영향으로 관산·호동·중앙·경일 초등학교 등의 초등교육기관과 원곡·관산·중앙·원일·성포 중학교 및 원곡고등학교 등을 포함한 다수의 중등교육기관이 세워졌다.

2018년 기준 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 98개소, 초등학교 54개소, 중학교 29개소, 고등학교 24개교, 전문대학 3개교, 대학교 2개교, 대학원 2개교, 기타학교 2개교가 있다. 안산문화원이 1987년에 개원하여 별망성예술제·안산서낭제 등 각종 문화예술행사를 주관하고 있다.

서울예술대학교

ⓒ enfly/wikipedia | CC BY-SA 3.0

특히 별망성예술제에서는 별망성에서 행해지는 고축제(告祝祭)와 와동민속농악·별초무(別抄舞) 등이 베풀어진다. 민속놀이 중에서는 갈퀴치기·낫치기(일명 낫거리)·실놀이 등이 독특하다. 전설로는 <현덕왕후의 신벌>·>별망산전설>·<광덕산부채보살이야기>·<실골지관이야기> 등이 전해지며, 민요로는 <배치기노래>·<방아소리> 등이 전한다. 특히 <배치기노래>는 고기잡이를 떠나는 배의 만선을 기원하면서 부르는 노래로, 서해안지역에서는 드물게 이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다.

2017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4개소, 병원 21개소, 의원 345개소, 특수병원 2개소, 요양병원 19개소, 치과병원 190개소, 한방병원 12개소, 한의원 135개소, 조산소 1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7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254개소, 노인주거복지시설 8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118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15개소, 여성복지시설 2개소, 어린이집 575개소, 장애인복지시설 23개소, 노숙인생활시설 1개소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기도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안산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