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중국 북동부 랴오닝 성 중부 |
---|---|
인구 | 1,713,452명 (2024년 추계) |
면적 | 9,252㎢ |
대륙 | 아시아 |
국가 | 중국 |
요약
선양에서 남서쪽으로 80km 정도 떨어져 있다. 안산은 본래 중국 본토에서 랴오양으로 가는 길에 있는 역참이었다. 1387년 마을이 형성되었고, 1587년 명나라가 만주족을 경계하기 위해 이 지역을 요새화하여 방어거점의 일부로 삼았다. 그러나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 때 성벽이 무너지기 시작했으며, 1900년에 일어난 의화단사건 당시 시가지가 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다. 러일전쟁 중에 더욱 심하게 파괴되어 거의 불모지나 다름없게 되었다.
현재의 안산은 공업도시로 성장했다. 1909년 이 지역에 광범위하게 매장되어 있는 철광석이 확인되었다. 1950년대말까지 철강생산량은 중국 전체생산량의 40%를 넘어섰다. 안산에서 생산된 철강은 둥베이 지구에 있는 다른 대도시의 엔지니어링과 기계제조업을 위해 제공된다.
선양[瀋陽]에서 남서쪽으로 80km 정도 떨어져 있다. 지구급(地區級) 시로 하이청 현[海城縣]과 타이안 현[泰安縣]이 영내에 포함된다. 안산은 본래 중국 본토에서 랴오양[遼陽]으로 가는 길에 있는 역참이었다. 랴오양은 안산에서 북동쪽으로 24km 떨어져 있다.
1387년 마을이 형성되었고, 1587년 명(明)나라(1368~1644)가 새로 부상하는 만주족을 경계하기 위해 이 지역을 요새화하여 방어거점의 일부로 삼았다. 그러나 만주족이 세운 청(淸)나라(1644~1911) 때 성벽이 무너지기 시작했으며, 1900년에 일어난 의화단사건 당시 시가지가 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다. 러일전쟁(1904~05)중에 더욱 심하게 파괴되어 거의 불모지나 다름없게 되었다.
옛 시가지로부터 10km 정도 떨어진 곳에 세워진 현재의 안산은 처음부터 공업도시로 성장했다. 1909년 이 지역에 철광석이 광범위하게 매장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주변마을인 다구산[大孤山]·잉타오위안·궁창링[弓長嶺] 지대에는 훨씬 많은 철이 매장되어 있다. 1918년 남만주철도주식회사가 안산에 제철공장을 세웠다. 초기에는 철광석의 질이 낮아 산출량이 적었으나 곧 새로운 공법을 도입하여 이를 개선했다.
일본 점령하인 1931년 이후 안산은 일본 철강공업에 사용되는 선철의 첫 생산지가 되었다. 1935년 이 지역에 철강공장이 들어서 생산에 착수했다. 1937년 안산은 일본이 세운 괴뢰정권인 만주국이 부분적으로 지원하는 만주중공업회사에 넘어갔다. 이후 안산의 공업은 무기제조용 강철생산이 주가 되었고 이와 함께 도시도 급성장했다.
제철공장 이외에 여러 종류의 중기공장이 세워졌으며, 코크스가 부족해 곤란을 겪기도 했으나 푸신[阜新]과 그밖의 지역에 탄광이 개발되어 그 문제는 해결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군이 대부분의 최신설비들을 해체하여 본국으로 가져갔기 때문에 안산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전쟁 말기에 공장들은 대규모 폭격으로 크게 파괴되었으며, 소련이 철수한 뒤 국공내전 기간에 더욱 심하게 손상되었다.
1948년까지 인구는 줄어들었으며 강철생산도 사실상 중단 상태에 있었다. 1949년 이래 공산정권은 안산과 기타 지역의 중공업을 부흥시키는 일을 주요과제로 삼았다. 제1차 5개년 계획(1953~57) 아래 안산은 중국의 주요 종합철강단지로 재건되었으며, 대부분 소련에서 들여온 최신장비로 시설을 교체했다. 1957년까지 중레일, 강철판, 이음새 없는 관, 합금철강 등 다양한 종류의 철강제품을 생산했다. 또한 중국 내 다른 지역의 종합철강단지를 위한 기계설비도 생산했다.
1950년대말까지 안산의 철강생산량은 중국 전체생산량의 40%를 넘어섰다. 안산은 공업발전의 최고 중심지가 되었고 다른 지역에서 많은 기술자와 노동자들이 연수를 받기 위해 모여들었다. 1960년 소련 원조의 중단과 뒤이은 산업축소로 일시 곤경에 처했으나 곧 회복되었다. 1980년초까지 안산은 중국 철강의 1/4을 생산했다.
1960년대에 단순히 생산력 증가를 지향하던 노력은 이전에 수입했던 전문화 제품들을 만들려는 목표로 대체되었다. 1970년대말 안산은 철강공업 분야에서 중국 제일의 야금연구와 기술혁신의 중심지이며 엔지니어링 공업의 중심지였다. 주요 생산품은 트랙터·화학제품·시멘트·종이 등이다.
안산은 둥베이[東北:만주] 남부에서 각 분야를 고루 갖추고 있는 공업단지 가운데 하나이다. 푸신·푸순[撫順]·번시[本溪]로부터 석탄을 공급받고, 다스차오[大石橋]로부터는 마그네슘을 공급받고 있다. 식량은 주로 랴오양을 통해서 공급받는다. 안산에서 생산된 철강은 둥베이 지구에 있는 다른 대도시의 엔지니어링과 기계제조업을 위해 제공된다. 석유정제공장도 있다. 생산용량으로 보면 안산은 상하이[上海]·톈진[天津]·우한[武漢] 다음 가는 중국 제4위의 공업도시이다. 선양 및 뤼다[旅大]와는 철도로 연결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