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낙동강 하구로부터 상류 쪽으로 34㎞ 지점에 있다. 1971~76년에 건설되어 낙동강 유역의 잦은 홍수와 가뭄의 피해를 방지하고, 하구로 유입하는 바닷물을 막아 유역 내의 공업용수와 관개용수 등 각종 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전력을 생산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
댐은 높이 83m, 길이 612m인 토석 댐으로, 낙동강 수계에서는 처음으로 건설되었다. 만수위 때의 저수지 면적 51.5㎢, 총저수량 12억 4,800만㎥, 유효저수량 10억㎥로 유역면적 1,588㎢에 이른다.
안동 댐의 왼쪽 연안에 해당하는 안동시 성곡동에는 국내 최초의 양수겸용식 안동수력발전소가 건설되어 연간 약 1억 6,200만kWh의 전력을 생산하여 상주변전소를 통해 영남과 중부지역 일대에 공급하고 있다.
낙동강 하구로부터 상류 쪽으로 34㎞, 안동시 북동쪽 4㎞ 지점에 있다. 수력자원의 합리적인 개발을 위한 4대강종합개발계획의 일환인 낙동강 유역 수자원개발사업에 의해 1971~76년에 건설되었다. 낙동강은 하상구배가 한국의 주요하천 가운데 가장 완만하며 하천양안에는 낮은 충적평야가 발달해 있어, 홍수피해 상습지역이었다.
이 댐의 건설로 잦은 홍수와 가뭄의 피해를 방지하고, 하구로 유입하는 바닷물을 막아 유역 내의 주요도시와 농촌에 연간 9억 2,600만t에 이르는 공업용수와 관개용수 등 각종 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전력을 생산하는 등의 효과를 내고 있다. 이 댐은 높이 83m, 길이 612m인 중앙차수벽식 토석 댐으로, 소양강 다목적 댐에 이어 건설된 대규모의 댐이며 낙동강 수계에서는 처음으로 건설되었다. 댐의 건설로 조성된 안동호는 안동시의 와룡면·도산면·예안면·임동면·임하면에 걸쳐 있다.
만수위 때의 저수지 면적 51.5㎢, 총저수량 12억 4,800만㎥, 유효저수량 10억㎥로 유역면적 1,588㎢에 이른다. 댐의 하류에는 역조정지가 건설되어 있는데, 이는 발전시에 방류한 물을 가두었다가 야간의 잉여전력을 이용해 댐의 저수지로 다시 양수하기 위한 보조 댐이다. 길이 218m, 높이 20m, 수문 10개를 가진 콘크리트 잠수언으로, 유효저수량 300만㎥이다.
안동 댐의 왼쪽 연안에 해당하는 안동시 성곡동에는 국내 최초의 양수겸용식 안동수력발전소가 건설되어 있다. 시설용량 9만kW(4만 5,000kW×2대)로, 1971년 10월부터 발전을 시작했다. 반지하식 철근 콘크리트 옥내형 건물 안에 수차발전기와 펌프 전동기를 이용해 발전과 양수를 하고 있다. 발전기는 첨두부하용 발전기로 하루 평균 4~5시간의 첨두발전이 가능하다. 연간 약 1억 6,200만kWh의 전력을 생산하여 상주변전소를 통해 영남과 중부지역 일대에 공급하고 있다.
한국 전통문화의 중심지인 안동지방은 최근 안동호를 새로운 호반 관광지로 개발하고 있다. 댐 남쪽의 안동시 성곡동에 수몰지역의 각종 문화유산들을 이전해 안동민속촌을 조성했다. 이 댐의 건설로 안동시의 6개면 54개 자연부락의 3,144가구가 수몰되고 2만 664명의 이주민이 발생했다. 또한 댐이 완공된 후 낙동강 상류 44㎞ 지점으로부터 1~6㎞에 이르는 지역에 안개가 심하게 끼고 가을철의 평균 일조시간이 10시간에서 6시간으로 줄어드는 등 생태계와 기후에 이변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