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하드 하암

다른 표기 언어 Ahad Ha'am
요약 테이블
출생 1856. 8. 18, 키예프 근처 스크비라
사망 1927. 1. 2, 팔레스타인 텔아비브
국적 러시아

요약 시온주의 운동의 지도자.
본명은 Asher Ginzberg.

아하드 하암(Ahad Ha'am)

ⓒ National Library of Israel/wikipedia | Public Domain

히브리 문화에 대한 그의 관점은 유대인들을 팔레스타인에 조기 정착시킬 목적으로 이루어진 시온주의 운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명석하고 정확한 문예비평가로서 현대 히브리 문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의 정통 유대교 집안에서 성장한 그는 랍비 문학에 통달했지만 곧 중세 유대 철학의 합리주의 학파에 관심을 기울였고, 유대주의와 현대 서구사상을 통합시키려고 했던 유대교 자유주의 운동인 하스칼라(Haskala:계몽운동)의 저술에 관심을 쏟았다.

22세 때 호베베이 시온(시온의 예찬자들)으로 알려진 유대 민족주의 운동의 중심지였던 오데사로 가서 유대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동시에 러시아의 허무주의자 D. I. 피사레프와 영국 및 프랑스 실증주의자들의 유물론 철학에도 영향을 받았다. 호베베이 시온의 중앙위원회에 참가한 뒤 첫 논문 〈이것은 길이 아니다 Lo ze ha-derekh〉(1889)를 출간했는데, 여기서 그는 시온주의의 정신적 토대를 강조했으며 유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새로운 논쟁의 시대를 열었다.

1897년 팔레스타인을 2차례 방문한 다음 잡지 〈하실로아 ha-Shiloaḥ〉를 창간하고, 그당시 가장 유명했던 유대 민족주의 지도자인 테오도르 헤르츨의 정치적 시온주의를 혹독하게 비판하는 글을 실었다. 그는 팔레스타인에 유대 민족의 중심지를 세워야 한다는 입장에 찬성하면서도, 유대인 국가는 유대 정신이 부활하기 시작하는 출발점이 아니라 그 마지막 결과가 되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시온주의 조직에는 가담하지 않았다. 유대 문화를 유대교의 종교적·윤리적 가르침의 표현으로 보았던 그는 민족정신이 디아스포라(팔레스타인 밖에 흩어져 사는 유대인)의 생존에 필수 불가결하며, 유대인 국가에서 유대인들의 도덕적 가치를 분명하게 나타내는 수단으로서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시온주의 운동의 지도자인 카임 바이츠만이 영국 정부로부터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를 세우는 것을 지지한다고 밝힌 밸포어 선언(1917)을 끌어내기 위해 애쓰는 동안 아하드는 그의 친밀한 조언자 역할을 했다. 말년에는 팔레스타인에서 서한집 〈아하드 하암의 서한집 Iggerot Aḥad Ha⁽am〉(6권, 1923~25)을 편집하며 보냈다. 그후 주로 말년의 모습이 담긴 편지들과 회상기를 모은 〈회상의 편지 모음 Aḥad Ha⁽am:Pirqe zikhronot we-iggerot〉(1931)을 출간했고 4권의 논문집도 펴냈다(1895, 1903, 1904, 1913).

세속 사상에서 깊은 영향을 받기는 했지만 아하드는 유대인의 전통가치를 열렬하게 강조했고, 유대인의 가치를 근본적으로 바꿔 유대인의 민족성을 재창조하려고 했던 사상가들에 대해 반대했다. 아하드 하암의 도덕적 관심은 동시대 사람들에게는 매우 큰 영향을 미쳤지만, 후대의 시온주의자들은 그의 저술에서 엿보이는 지나친 합리주의 경향을 지적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하드 하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